[학술논문] 다차원적 해양안보 위협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한국 해군의 전략과 전력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해군의 전략과 전력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21세기 한국 해군은 한반도에서의 북한 위협, 동북아에서의 주변국 위협, 그리고 국제지역에서의 비전통적 위협이라는 다차원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삼중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한국 해군은 위협대상에 따른 맞춤형 전략을 균형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즉, 북한 위협에 대비하기 위하여 연안에서 해양통제를 달성하여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전면전시에는 전쟁승리에 기여하며, 주변국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근해에서 해양균형을 달성하여 주변국과의 해양분쟁을 억제하고 분쟁 발생시에는 주도권을 선점해야 하며, 비전통적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원해에서 적극적인 해양협력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3축 균형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동함대의 건설이...
[학술논문] 경항공모함의 군사적 및 비군사적 효과 분석
...북한의 직접적인 군사위협을 전략적으로 억제하고 군사력이 우세한 주변국들로부터 한국의 해양주권을 수호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한반도 평화유지와 국가번영에 주도적인 역할을수행하기 위한 핵심전력으로 항공모함의 도입은 반드시 필요하다. 현존하는 위협과 미래 불특정 안보위협에 대비한경항모의 운용개념을 제시하면 제해권 확보를 위한 해상에서의 항공작전, 해양차단작전, 해양통제 및 관제, 대잠작전, 대함작전, 상륙작전, 조기경보, 함대지휘통제 등이 포함된다. 경함모의 비군사적 활동에 해당되는 부분은 초국가적 위협(재난, 테러, 해적 등) 대응, 인도적 지원, 국가위상 제고 등이다. 본 연구는 결론에서 명확한 국가의 경제 · 안보적 목표에 따라 국가안보전략을 설정하고 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경항모 소요에 대한 객관적...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유엔군의 원산 상륙작전과 철수작전을 통해 본 해상수송
...한국전쟁이 시작되자 유엔은 결성 이후 처음으로 ‘집단안보체제’를 가동하여 참전을 결정했다. 유엔군은 병력과 물자를 군함과 선박에 탑재하여 세계 각지에서 동북아 해역으로 집결시켰다. 한반도 대부분이 북한군의 진영에 들어간 상황에서 전황을 바꿀 수 있는 모든 전략은 해군력이었다. 이글에서는 한국전쟁 동안 유엔군이 전개했던 해상수송과 해양통제 활동에 주목했다. 부산교두보를 확보한 이후, 한국전쟁에서는 큰 해전이 없었고, 일찍이 해상통제권을 확보하여 해군의 활동은 육상작전 지원과 해상수송으로 좁혀졌다. 그런데 유엔 해군은 휴전협정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하는 1953년 7월 27일까지 폭격과 포격 등 해상봉쇄를 전개한 곳이 있었다. 바로 원산이었다. 원산은 일제시기 북한지역의 대표적인 도시였다...
[학술논문] 6·25전쟁 정전협정 체결 전후 이승만정부의 해군정책
...있다고 보았다.
이승만정부는 이러한 양면위협인식에 근거해 양면방어가 가능한 해군을 육성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정전협정을 불가피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대신, 미국으로부터 해군 증강을 확약받기 위한 외교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이승만정부는 양면방어가 가능한 해군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 해군이 독자적으로 한반도 인접 해양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구축하고자 했다. 따라서 이승만정부는 대미 해군 원조 획득외교를 전개함과 동시에 3개년 해군 원조 요청계획을 수립하고, 총 113척(총 톤수 96,381톤), 병력 2만 2,000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함대 건설을 추진했다.
This s tudy sheds n ew light o n the nav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