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북핵정책 분석과 과제: 위협과 대응의 일치성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북한 핵위협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법이 과연 위협의 변화에 부합되도록 변화 또는 강화되어 왔는가를 점검하고, 필요한 교훈을 도출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일반적인 핵대응 방법, 즉 외교적 비핵화, 억제, 방어, 대피 또는 핵민방위, 그리고 상대방과 타협의 상황별 활용을 설명하고, 이를 한국에게 적용하여 현재 어느 부분에 치중하고 있고, 어느 부분이 미흡한가를 평가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북한이 핵무기의 ‘소형화・경량화’에 성공한 후 ‘다종화・다수화’를 추구하고 있는 상황에 부합되지 않게 한국은 여전히 외교적 비핵화나 억제에만 의존함으로써 위협과 대응 간에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은 이제부터라도 방어에 대한 비중을 늘리면서
[학술논문] 일반적 핵대응 포트폴리오에 의한 한국의 북핵 대응사례 평가
...우선순위를 갖는가를 정리한 다음에 한국의 현 북핵 대응포트폴리를 평가하였으며, 한국의 대응 포트폴리오에서 보완되어야할 부분을 식별하였다. 분석의 결과, 북한은 수소폭탄을 개발하고, 대륙간탄도탄 개발에도 근접한 상태로서 전략적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평가하였고, 이를 전제로 할 때 한국은 일반적인 대응포트폴리오에 비해서 외교적 비핵화에 의존하는 비중은 큰 대신에 핵대피를 비롯한 방어를 위한 노력은 다소 미흡하다고 평가하였다. 따라서 핵민방위, 탄도미사일방어에 관한 보강이 필요하고, 추가적으로 자체적인 억제전략과 전력의 보강도 검토해야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즉 한국은 북핵 폐기를 위한 외교적 노력은 지속하되 그것이 확실하게 구현될 때까지는 노출은 최소화하더라도 핵민방위와 탄도미사일방어 등 방어적인 방안의 비중을 강화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