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핵장치 시험’ 수준에서 10년만에 ‘수소폭탄급’ 위력 갖춰
북한은 2006∼2017년 6차례 핵실험을 거쳐 핵무기를 고도화시켰다. 초기 핵실험은 초보적인 ‘핵장치 시험’ 수준이었지만 마지막이었던 6차 핵실험에선 수소폭탄급 무기를 시험했을 만큼 핵능력을 향상시켰다는 평가가 나왔다. 우리 정보당국은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을 언제든 핵실험이 가능한 상태로 관리 중이라고 보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판단에 따라 언제든 7차 핵실험이 이뤄질 수 있다는 의미다.
[뉴스] 전문가들 “현무-5, 북 지하 시설 파괴엔 효과적∙∙∙전술핵엔 크게 못 미쳐”
미국의 군사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국군의 날 처음 공개한 ‘현무-5’ 미사일이 북한의 지하 시설을 파괴하는 데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전술핵에는 크게 못 미친다고 평가했습니다. 재래식 탄두로는 최고 수준이지만 핵무기와는 위력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다는 설명입니다. 안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치/군사]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의 발표였다. 언론이 연일 칭송하는 현무 미사일의 위력을 과연 믿어도 될까?
둘째, 2월 28일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y)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파행 이후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은 무기지원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7월 9일 푸틴(Vladimir Putin) 대통령과의 전화협상이 결렬되자, 그는 독재자의 의사결정처럼 손바닥 뒤집듯 무기지원 재개를 발표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여름 총공세에 나서면서 우크라이나는 더욱 위태롭게 되었고, 언제 다시 무기지원 중단을 발표할지도 모르는 미국만 바라보고 있다. 우크라이나가 1994년의 부다페스트 안전보장 각서에 합의하지 않고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았다면 러시아가 침공할 수 있었을까? 이 상황을 지켜보다가...
[정치/군사]
...세습 독재 정권이자 사실상 9번째 핵보유국인 북한과 우리는 마주하고 있는 형국이다.
이러한 북한의 세습 정권사를 단적으로 말하자면, 피로 점철된 잔혹한 숙청의 역사이자 핵 개발의 역사이기도 하다. 특히 북한 정권은 세습 독재체제 유지와 다른 나라들을 압박하는 강력한 대외정책 수단으로 핵무장을 목표로 삼았으며, 모든 국력을 핵 무력 증강에 온통 쏟아부었다. 그 결과 가공할 핵무기의 위력이 실존하는 상황을 만들었고, 이제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말았다. 오늘날 자체 핵무장론이 대두되고 있는 큰 이유이다. 이에 대해 미·중 패권 경쟁 측면에서 한반도의 완충지대가 서로에게 필요하다는 인식이 북한의 핵 무력 증강을 적어도 방관 또는 묵인해준 게 아니냐는 색다른 주장도 있다.
[학술논문] 북핵의 정치적 효과와 대남전략: 비대칭적 상황에서의 전략 추진
... 북한의 대남전략 구사에 더욱 폭넓게 활용될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남 우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북핵은 이 점에서 양면성을갖는데, 핵무기의 위력 과시와 ‘비대칭전’ 수행을 위한 위장 수단으로서의 핵을 전면에내세우는 전술을 구사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다. 즉 북핵은 정치적 효과를 위한 수단이고, 생화학무기, 사이버 전력, 여론전 등 북한이 구상하는 ‘하이브리드 전쟁’ 수행 방식의 극대화를 위한 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 한국은 이에 대한 대비를즉시 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북한의 당군관계, 그 결과: 북핵개발의 국내정치적 요인과 핵전력 지휘통제체계
...일반적으로 북한의 핵무력 증강의 원인은 김정은 정권의 대외위협 인식에서 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핵무기를 보유하게 되면 오히려 핵보유국이 되기 전보다 더 극심한 대외위협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북한이 합리적 행위자라면 김정은 정권은 미국과 중국 등 국제사회의 안전보장 조건을 수용하고핵무기를 포기함이 마땅하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않다. 이유는 북한의 국내정치적 배경에 있다. 현재 김정은 정권은 핵무기를단순 외세의 개입을 저지할 수 있는 담보로써 활용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국내정치적 도전세력을 굴복시키는 정권안보의 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핵무기의 압도적인 위력은 재래식 군사력의 필요성을 희석시키고 재래식 무기를 핵무기의 불완전성을 보완하는 보조적인 역할수행에 그치게함으로써 전문적인 군인집단의 성장을 저지한다....
[학위논문] 북한 핵무기와 미사일 전략에 관한 연구
...북한의 핵개발과 그 개발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현존하는 북한의 핵시설, 북한 스스로 IAEA에 제출한 최초보고서, 핵과학자들의 분석내용 등 세 측면을 분석했다. 그 결과, 북한은 '94년 이전에 20KT 위력의 핵폭탄 3-5발을 제조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사용후핵연료봉에서 추가로 추출한 플루토늄으로 3-5발의 핵무기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조만간 총 8발의 핵무기를 보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핵 운반수단인 탄도미사일의 개발은 더 빨리 진척되어 핵무기가 완성되기 전인 1985년도에 SCUD-B 탄도미사일 시험발사에 성공했고, SCUD-C 탄도미사일은 1990년도에 완성하여 한반도 전체를 사정권내에 두게 되었다. 노동1호 탄도미사일은 '93년도에 그리고...
[학술논문] 북한 4·5차 핵실험의 기술적 평가
North Korea intended to increase the power of its nuclear weapons and standardize warhead to be loaded in ballistic missiles through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nuclear weapons that North Korea might have used in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to achieve their technical goals were suggested. Monte Carlo modeling and various technical assessments have shown that boosted
[학술논문] 핵억지 이론을 통해 살펴 본 북한의 핵전략
북한은 2016년에 들어서면서 두차례 핵실험을 강행하며 자신들의 핵능력을 국제사회에 과시한 데 이어, 수차례 중ㆍ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를 통해 핵투발 수단의 완성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2017년에 들어서면서 기존의 위력을 크게 뛰어넘는 6차 핵실험과 세차례에 걸친 장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성공을 주장하며 미국본토에 대한 타격위협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렇듯 미-북간 핵문제를 두고 이루어졌던 치킨게임도 북한의 핵능력이 고도화되면서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약소국인 북한이 약 20여 년에 걸친 기간 동안 강대국인 미국을 상대로 핵보유라는 목적 달성을 눈앞에 둘 수 있을까? 그 이면에는 치밀하게 계산된 북한의 ‘핵전략’이 있다. 약소국인 북한은 삼각억지ㆍ최소억지 등 핵전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