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문학에 나타난 북한이탈학생 이미지의 기호학적 분석
이 연구는 북한이탈학생을 주인공으로 하는 아동문학작품을 대상으로 북한이탈학생의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0년대 이후 출간된 작품을 중심으로 북한이탈학생들의 주된 이미지를 구성하는 의미생성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형과 기호사각형을 사용하였다.『딱친구 강만기』,『피양랭면집 명옥이』,『이상한 놀이공원』을 주요 작품으로 분석하였다. 행위소 모형에 의해 주체, 대상, 조력자, 반대자, 발신자를 정리하면 주체인 북한이탈학생이 욕망하는 대상은 자유와 친구관계형성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욕망을 획득하기 위해 도와주는 조력자는 주로 가족이나 같은 처지에 있는 또래였다. 반면 주인공의 행동을 반대하거나 억압하는 반대자는 탈북 과정에서 만난 타국 사회나 어른들이었으며 남한사회 문화나 또래아이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