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으로 본 북한사회 내 정보 이동성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화
...내외부 연결망에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참여함으로써 나타난 현상과 특징을 통해 블랙박스화된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최근까지 북한사회 내 다양하고 역동적인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연결망을 추적하여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사회 내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새로운 연결망으로 포획되면서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일상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은 생존 연결망, 경제 연결망, 정보 연결망과 상호 조응하면서 새로운 권력과 저항적 실천 담론을 생산해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사회 내 행위자-연결망은...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송금 분석: 행위자-연결망 이론(ANT)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송금을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 Network Theory: ANT)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인간 행위자 중심의 서술이 아니라, 다양하고 역동적인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상호작용과 결합의 관점에서 현상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유우성 씨 문제’나‘퍼주기 논란’, ‘송금 수수료’ 등 정치적이거나 민감한 문제로 감춰진 송금의 ‘블랙박스(Black-Box)’ 이면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사회에서 송금 가능성은 물론, 한‧중‧북 송금시스템의형성‧발전에도 다양한 행위자들이 연결망에서 상호작용하며 현상들을 구성해 내고 있다. 둘째, 코로나19 팬데믹의 등장은 기존 북한사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