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가요의 모범이 된 ‘사향가’ 연구: 혁명가요와 타 장르로 확산된 획일화
Music in North Korea is just another mean to support their ideology. Kim Il-Sung said that music needs to serve politics, and that the principal role of music in its art form is to create songs that empathize with the republican’s emotions. Such remarks by Kim support the prominent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politics, and had him be called as a musical politician or a political musician. The
[학술논문] 북한의 음악사 인식 기조와 기술(記述) 양상 분석-리차윤과 리히림의 논저를 중심으로-
...우리는 두 북한학자의 음악사 기술에서 다음과 같은 연구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민요와 민간음악 중심의 역사 인식 및 서술이다. 구비전승을 특징으로 하는 민요를 비롯해서 기록이 취약한 기층음악에 대한 역사적 맥락을 유구하게 이어보려 한 점은 매우 긍정적이다. 또, 민요의 개념을 ‘노래’와 대등한 개념으로 확장하고, 고대 시가, 향가, 고려가요 및 기타 시가(詩歌)를 포함하여 가곡, 가사, 시조, 잡가, 판소리까지 도시가요, 참요, 풍요, 세태민요, 도시 서정가요, 노동민요, 직업민요 등으로 그 범주에서 실존과 의미를 부여한 점은 괄목할 만한 점이다. 둘째, 북한에서 기술된 음악사는 우리와는 사뭇 다른 사관에서 맥락을 꾀했지만 남한의 음악사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남한에서 쓰여진...
[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상고시가
북한 문학사들의 문학작품 해석은 대단히 연역적이고 작위적이다. 상고시가 중 집단 노동이나 儀式을 반영한 <구지가>의 단계에서 개인 창작시가의 단계로 넘어가는 어름에 <두솔가>가 있고, 그로부터 한시와 향가를 중심으로 하는 개인 창작 시가들이 앞 시대에서 지속되어오던 집단 가요들과 공존하는 시대적 맥락을 형성했다. 원시사회가 무너지고 고대국가가 출현하던 시기부터 개인 서정가요들은 만들어졌고, 그 가운데 한역을 통해 기록으로 남아 있게 된 것이 <공후인>이다. 그들은 그 다음 단계인 삼국을 봉건국가로 규정했고, 첫 봉건국가를 고구려로 보았으며, 그 시기의 문학을 ‘중세문학’이라 했다. 이 시기 <황조가>를 비롯한 당대의 시가들을 통해 한자로 기록된...
[학술논문] 북한문학사와 향가
...그와 함께 주체미학적 관점을 강조했다. 향가가 ‘인민대중의 집단적 노동요’ 즉 ‘두레노래’에서 나왔다는 관점은 북한의 모든 문학사들에 공통된다.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필수요건인 ‘인민성ㆍ당성ㆍ노동계급성’ 가운데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조할 필요 때문이었을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의 인민대중 속에서 불리던 생활가요들이 상당기간 후에 고안된 향찰 書寫法으로 기록되면서 구체적인 시 형식으로 나타난 장르가 향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書寫의 과정은 형식적 整齊를 이루어 나가던 加工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노래 즉 ‘읊던 시가’에서 시문학 즉 ‘쓰는 시가’로의 전환을 향가에서 찾아낸 점은 시가사 전개 양상의 합리적...
[학술논문] 石堂 鄭在煥선생의 문화유산․기록유산에 대한 계승 노력과 인식
...국보․보물 및 국가 사적 등으로 지정된 국가문화재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동궐도」 및 「土器隆起紋鉢」 등의 경우에는 제3국으로 유출될 위기에 있던 문화유산이었다. 석당은 1955년부터 문화․기록유산을 발굴․수집․보존 및 교육․연구하고 계승․발전시킬 수 있는 구조적 기반으로 국문학과․사학과도 설립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고고학․고대사․중세사․근세사와 한문학․향가․민속학․한글․서지학 등에서 풍부한 연구․교육역량을 갖춘 저명 인력들도 영입하였다. 학생들의 고적순례․발굴․유물전시회 등과 같은 현장역량강화에도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석당은 문화․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연구할 수 있는 도서관․박물관을 개관하고 1950․60년대에는 독립건물도 확보하였다. 이에 1966년에는 우리대학 박물관이 전국에서 으뜸되는 위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