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화선(火線)음악 - 6.25전쟁기를 중심으로 -
...만들어진 곡은 농어촌을 포함한 노동현장, 그리고 학교에 이르기까지 직맹(職孟) · 농맹(農孟) · 여맹(女孟) 등 다양한 조직체계를 기반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되었으며, 군대에서도 군대 내 음악써클을 통해 다양한 형식의 노래 가창(歌唱)이 이루어졌다. 체계적인 조직의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한 음악활동은 전쟁기에 인민군대 내에서 혁명적 낙관주의를 보급하는 역할을 하였다. 화선에서 진행된 인민군협주단(人民軍協奏團)을 비롯한 전문 음악단체의 위문공연과 함께 인민군대 스스로 화선예술선전대(火線藝術宣傳隊)를 조직하여 최전선에서 전투에 매진하는 인민군대를 독려하였다. 특히 이들은 거문고와 나팔, 가야금과 같은 악기를 손수 제작하여 연주에 사용하였으며, 전쟁기간 중인 1953년 5월에 있었던 군무자예술축전(軍務者藝術祝典)에...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에 해당하는 『대하는 흐른다』와 『시대의 탄생』은 북한 문학사에서 ‘혁명문예론’과 ‘대작 장편 창작론’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던 시기에 창작되었다.
『시대의 탄생』은 6·25 전쟁 시기 조국 수호 서사를 혁명적 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6·25 전쟁이 1950년대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 식민지 시대에 미국이 제국주의 야욕을 품으면서 이미 오래 전부터 계획된 전쟁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 작품은 북한 문단에서는 단순히 조선 인민의 영웅성에 대한 찬가뿐 아니라 인민들이 미제 침략자를 물리쳐 새 시대를 탄생시킨 역사적 위훈에 대한 확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에는 혁명적 낙관주의와 대중적...
[학술논문] 1980년대 북한 소설 중의 중국지원군 서사 연구 -작품집『형제』에 수록된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통해 네 편의 작품 속에서 창작 기교와 지원군 이미지 처리 등에서 뚜렷한 유형화와 일치성을 알아볼 수 있다. 첫째, 중국지원군 주인공과 북한 민중 주인공들 사이의 ‘가정재건(家庭重建)’식 가족애 서사로 조·중 양국의 사회주의 동맹 관계를 표현하고 있다. 둘째, 영웅 서사를 중요시한다. 작품들에서 지원군 인물들을 모두 혁명적 낙관주의 정신을 가지고 있으며 위험에 처했을 때도 두려워하지 않는 영웅적인 이미지로 등장시킨다. 셋째, 항일전쟁 시기부터의 국제주의 이념을 일관되게 계승하면서 동시에 중국에 대한 이역(異域) 상상이 내포되어 있다. 『형제』의 네 편의 소설에서 중국지원군은 북한을 지키는 친구, 국제주의의 실천자, 조·중 우애의 건설자 등의 이미지로 조·중...
[학위논문] 북한 조선소년단에 관한 연구 : 사회통합기제로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단원들에 대한 의도적이고 지속적인 사회화이다. 소년단은 단원들이 당이 요구하는 일률적인 자아와 가치관을 형성하고, 당이 주입하는 도덕성과 문화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단원들의 사회화 과정에 개입한다. 소년단을 통한 북한의 사회화 과정을 살펴보면, 일관되게 긍정적인 자아인식 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한이 강조하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혁명적 낙관주의‘라는 표현에 잘 집약되어 있는데, 현재는 비록 고난과 시련뿐일지 라도 이를 잘 극복하면 미래에는 '낙원'에서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희망을 끊임없이 강조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단원들에게 국가가 부여하는 고정된 역할과 지위를 습득시키는데, 이 중 소년단원들에게 가장 강조되고 있는 지위는 '당의 후비대, "혁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