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 폭탄봉을 든 그의 모습은 단순한 전사 이상의 존재로 형상화되며, 혁명과 조국을 위해 희생하는 영웅적 전사의 이상적 이미지를 구현한다. (…) 왕청의 죽음은 소설 속 샤오류처럼 두 다리를 잃어야만 하는 전쟁의 참혹함도 없고, 동생 왕팡의 눈물조차 허락되지 않는다. 영웅의 죽음이 이렇게 비현실적이고 낭만적으로 처리되는 방식은 ‘17년 시기’ 전쟁영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177-178
[사회/문화]
...
이런 변화가 등장인물의 성격이 조금 풍부하게 했을지 모르지만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벗어나지는 못한다. 저자가 분류한 특수한 인물들은 긍정적 인물인 영웅들을 따르는 보조적 인물이며, 카멜레온적 변신하는 인물들은 부정적 인물군과 다를 바 없기 때문이다. 또한 고난 승리의 서사는 여전한 상황에서 조금 더 현실성을 갖춘 인물을 추가했다고 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는 긍정적 인물을 중요시하는 혁명적 낭만주의에 기반을 둔 ‘사회주의 리얼리즘(고상한 리얼리즘)’의 작은 변형에 불과하며, 이후 진행되는 ‘주체 문학’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다.
[학술논문] 해방의 선택과 소설의 선택 - 해방기 현경준 소설 「불사조」의 현실 인식
...승리한 정치세력의 지도 아래로 봉합되어 버렸다. 해방 직후 북은 민주주의민족문학 건설을 위한 ‘민주기지론’을 주창하였고 1947년 2월에는 정식 인민위원회를 발족하고 같은 해 3월에는 문학 창작 방법론으로서 ‘고상한 리얼리즘’을 발표 한다. 영웅적이고 긍정적 인물을 본받아 배우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창작방법은 혁명적 낭만주의에 가까워서 북한 문학의 도식주의적 경향을 드러낸다. 현경준의 「불사조」는 해방 직후 일련의 북한의 문예정책을 따르고 있는 소설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설 속 영웅적 인물이 유치장 안의 다른 유치인들과 융합되면서 주체적 권력체로서의 ‘인민’으로 환원되는 모습에서는 개인의 존재보다는 공동체성이 두드러진다. 또, 유치인들 사이에서...
[학술논문] 선군시대 북한 여성 작가의 감성적 글쓰기 양상: ‘렴형미, 리연희, 리라순’의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을 중심으로
...전복이 아니라 여성이 겪는 결혼, 출산, 육아 등의 본질적인 문제가 선군시대 북한이 겪는 문제들과 결부되어 이를 극복해내는 방식으로서 표현된다. 그의 시에서의 모성은 여성적 체험을 바탕으로 체제에 기여하려는 책임의식, 돌봄, 사랑으로 표현되고 이는 접촉의 시어로 형상화된다. 리연희의 시에서는 혁명적 낭만이 열정과 환상으로 표출된다. 선군시대 북한 문학은 시련을 이겨내고 강성대국의 길에 들어서는 현실을 반영하면서 혁명적 낭만성을 구현할 것이 요구되는데 리연희의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을 살펴보면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여성 특유의 감성인 안음과 안김의 시어로 표출된다. 리라순은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 창작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최근의 작품에서는 최첨단 돌파를 위해 국가에...
[학술논문] 안룡만 연구 시론(試論) - 서사성과 낭만성을 중심으로
...전달자였던 그는 최근의 북한문학사에서도 높게 평가 받는 북한의 대표 시인이다. 서사성과 낭만성은 안룡만 시의 중요한 특징이다. 안룡만은 분단 전에도 유이민 노동자의 고단한 삶 이야기 안에서도 생활에 대한 희망을 담고 있었으며 그것이 분단 후에는 사회주의 건설 현장의 노동 영웅 이야기와 함께 그 안에 담긴 혁명적 낭만성으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1934년 등단작「강동의 품」과 1964년 시집 수록작「대동강반의 아침」을 비교해보면 서사성과 낭만성의 차이점 또한 찾을 수 있다. 분단 전의 비참한 생활에서 잘 드러난 이야기의 비극성은 ‘옛말하는 기쁨’으로 변질되었다. 슬픈 운명 속에서도 잃지 않던 희망의 낭만성은 북한문단에서는 공산주의를 향한 맹목적인 혁명적 낭만성으로 바뀌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학위논문] 북한소설의 구조 분석 : 김병훈의 소설을 중심으로
...‘무의식’을 탐색하는 구조시학의 근본전제이다. 혁명적 전언은 혁명적 아름다움이나 혁명적 랑만성에 중점을 두든 혁명적 수령관에 중점을 두든 혁명역사의 목적론적 전언이 아닐 수 없다. 이를테면 혁명적 아름다움은 혁명역사의 공간은 아름답다는 전언이고 혁명적 랑만주의는 혁명역사의 시간은 낭만적이라는 전언이다. 이런 혁명적 전언들은 결국 혁명역사의 목적론을 정당화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무엇이 아름답다는 ‘의식’적 전언을 구현하는 ‘무의식’적 전언체계는 미적 표상구조이며 무엇이 낭만적이라는 ‘의식’적 전언을 구현하는 ‘무의식’적 전언체계는 낭만주의적 상징구조이다. 이런 전언체계의 ‘무의식’은...
#북한소설의 구조 분석 #김병훈의 소설 #혁명적 아름다움 #혁명적 랑만주의 #혁명적 수령관 #미적 표상구조 #낭만주의적 상징구조 #혁명역사의 목적론적 전언 #혁명서사의 무의식적 전언체계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North Korean novels #Kim Byung-hoon's Novels #Revolutionary Beauty #Revolutionary Romanticism #Revolutionary Suryong #Aesthetic Structure of Representation #Romantic Structure of Symbolism #Message on the Teleological Revolutionary History #Unconscious Message System of Revolutionary...
[학위논문] 피아노 협주곡 <조선은 하나다>와 <백두산의 눈보라> 분석을 통한 북한의 '우리식 고전음악' 연구
...없이 원선율 그대로 살려서 곡을 전개시키는 ‘반복전개수법’을 사용한다. 넷째, 사상적 내용을 묘사하기 위한 ‘형상수법’을 중요시한다. 다섯째, 주제선율을 기반으로 한 삽입선율이나 중간부 선율을 만들기 위해 ‘주제선율에 기초한 가공발전수법’을 사용한다. 여섯째, 러시아 국민주의 음악의 영향으로 낭만주의 음악어법과 소련 음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음악어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사상성과 인민성을 구현하기 위해 당이 규정한 북한의 획일적인 창작방침은 작곡가의 창작의 자유와 음악의 다양성을 제한하였고, 이는 곧 ‘우리식 고전음악’의 획일화 및 예술적 수준 저하의 원인이자 한계점이 되었다.
앞으로 이 논문이 북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