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경대혁명학원 창립과 핵심인재양성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만경대혁명학원의 창립과 초기운영 및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핵심인재양성기관으로서 기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1947년 10월 항일빨치산유자녀들을 돌보고 양육하기 위해 창립된 만경대혁명학원은 당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유자녀양육기관으로 그 역할을 다졌으며 정치, 군사 분야의 핵심간부들을 배출해 왔다. 북한 당국은 당초 만경대혁명학원창립 준비위원회를 조직하여 국내·외에 흩어져있던 항일빨치산유자녀들을 일일이 찾아내 입학자격 여부를 심사하고, 학원건물을 건축과 교육시설 마련을 위한 지원을 하고, 적합한 교원을 선발하는 일을 맡도록 했다. 이 학원은 한국전쟁 이후에는 ‘애국렬사유자녀’, ‘대남침투요원유자녀’ 등에게도 입학자격을 확대했다. 만경대혁명학원출신들은
[학술논문] 신성한 수령'의 발명, '범속한 모성'에의 회귀―김상훈의 북한 시편 읽기
...기준점으로 세우고 『흙』과 『열원』을 좌우에 배치했다. 그런 연후 첫째, 김상훈의 시적 행보를 더듬어보면서, 둘째, 시인의 사후 편편이 흩어진 시편을 모아 김상훈과 김훈으로 저자명을 따로 붙인 편집자의 구상과 의도를 살펴보았다. 이 과제들은 북한에서 발간된 김상훈 시집의 의미와 가치를 객관화하는 작업에 유용했다. 북한문학의 주요 과제, 이를테면 항일혁명의 전통계승, 사회주의 건설과 조국통일운동에 김상훈 시편이 어떻게 결속되는지를 밝혔다. 이것은 김상훈이 ‘월북시인’을 넘어 ‘통일시인’으로 입안되는 문학적 복권의 순간을 재구성하는 작업에 매우 유용했다. 그 기준점과 도달점으로서 ‘어머니’ 시편의 현실적이면서도 초월적인 위상을 함께 주목했다.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