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한주민과비교분석함으로써 북한주민의 다문화수용성을 가늠해보고 향후 통일한국의 사회통합을 위한 노력의 지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남한주민 440명과 북한이탈주민 273명 등 총 713명을 대상으로, 성, 연령, 경제수준등 배경변인과 함께 다문화수용성, 현실갈등인식, 한민족정체성, 다문화집단과의 접촉수준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인식이 산출되었고, 한민족정체성은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통일 후 북한주민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민족정체성보다는 다른 소수집단과 제한된 자원을 놓고 갈등할 수 있다는 보다 현실적인측면이 될 가능성이 높으며, 미래 통일 한국사회에서는...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이 다문화집단에 대해 느끼는 현실갈등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차별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위하여 273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남한거주기간 등의 배경변인과 현실갈등인식, 지각된 차별감 및 삶의 만족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이 지각하는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인식, 지각된 차별감 및 삶의 만족에서 성별, 연령별, 남한거주기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다문화집단과의 현실갈등인식이 높을수록 지각된 차별감은 높아지고 삶의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이 지각하는 현실갈등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각된 차별감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경제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현실갈등인식이 북한이탈주민이 느끼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지각된 차별감을...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이 국내 다문화집단에 대하여 지니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차이가 크지 않았고, 접촉의 효과는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이주여성과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태도가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태도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집단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삶의 만족도와 한민족정체성이 산출된 반면,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현실갈등인식과 차별감이, 연민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차별감이, 그리고 사회적 거리감의 경우 집단에 따라 다양한 요인이 산출되었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들이 다문화집단에 대해 지니는 태도는 대상마다, 그리고 태도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나 태도의 차원이 일차원이 아니라 다차원적임을 시사하였다.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