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정치학계의 북한문제 인식과 대응(2000-2012): 『국제정치논총』·『한국정치학회보』를 중심으로
...전반적 북한 문제 인식의 방향과 추이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두 유력 학술지(국제정치논총, 한국정치학회보)에 등재된 북한 관련 논문 197편을 ‘현실론’과 ‘이상론’으로 구분하고 그 추이를 통계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른바 현실론은 북한을 정상화해야할 불량 국가로 인식하며, 그 방법으로 강경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이상론은 북한 체제 특수성을 인정하고 가능한 대화와 경제 원조를 통해 남북관계를 풀어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통계적 검토 결과 대북 포용정책이 추진된 시기에는 이상론이, 보수 정부 집권 시기는 현실론이 일관된 강세를 보였다. 물론 자유사회에서 북한 문제를 보는 다면적 견해로 인정할 수도 있지만 학계가 시류에 편승하거나 정부의 기호에 맞는 연구에 치중한...
[학술논문] 통일한국의 토지소유제도론
...방향이어야 할 것인데 그 근거는 첫째, 우리 헌법상 자유시장경제질서를 근간으로 하고 있는 헌법의 효력이 한반도 및 부속도서에 미치고 북한의 파탄난 경제체제에서 취할 가치를 찾아볼 수 없는 이상 보편성을 띤 남한의 헌법적 가치를 전제로 남한의 토지사유제를 바꾸지 않는 이상 통일한국으로서의 북한지역에도 토지사유제는 실시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고, 둘째, 현실론적으로 남한은 토지사유제를 바탕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고 다소 문제가 되는 단점은 통제할 여력을 갖추었기에 다른 방안으로 토지사유제를 흔들 것이 아니며, 셋째, 토지사유제만이 자본주의와 부합된다고 할 것은 아니나, 적어도 자원의 최적배분을 시장의 손에 맡기자는 그 정신에 가장 철저한 것으로 그로 인한 문제점은 보완‧수정할 것이지 검증된 토지사유제를 흔들...
[학술논문] 북핵 접근의 현실론과 한반도형 핵 군비통제 방안
북핵 30년 넘는 기간 동안 미국과 한국의 진보 보수정부는 다양한 대북 정책 등을 적용하고 일시적인 성과와 실패 등을 반복하여 왔다.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한반도에서 핵전쟁 가능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All or Nothing 접근 방식은 실현가능하지도 참가국 어느 국가에게도 실익을 주지도 않는방안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노이 회담 이후 정책 전문가커뮤니티에서 주류로 자리잡고 있는 핵군비통제 방안을소개하고, 이러한 방안이 참가국들인 한국, 미국, 북한모두에게 수용가능하고 실익을 제공하는 동시에, 신냉전의 장기화 상황에서 미국의 대전략과 한국의 글로벌중추 국가 위상 강화에 기여하는 방안임을 제시하였다. 한반도형 핵군비통제 방안은 북한의 핵을 보유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도 아니고, 한반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