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말 의병전쟁 연구와 기념사업의 현황과 과제
...이용되었다. 그러나 일본 측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는 아직도 수집,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의병전쟁 기념사업은 해방 전부터 시작되었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해방 전에 건립된 것으로는 주로 사당이었으나 일제에 의해대부분 훼철되었다. 2024년 현재 의병전쟁 관련으로 지정된 현충시설은 178건이다. 이 중에 비석이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다음은 창의지와 전투지, 사당, 동상, 기념관, 생가의 순이다. 현충시설을 지역별로 보면 경북이 가장 많고 다음은 전남, 전북, 강원, 충북, 경남, 충남, 경기, 서울과 광주, 인천과 대구, 제주와세종의 순이다. 의병기념관은 모두 8개소이나 제천과 청송을 제외하고는 개인기념관이다. 사당이 모두 15개소가 있는데, 이 중에 최익현을 모신 사당이 7개소로 가장 많다...
[학술논문] 북한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의 현황 연구
본 연구는 북한에 묻혀 있는 독립운동가의 현황을 분석,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북한에는우리의 현충원과 같은 현충 시설로서 혁명열사릉과 애국열사릉이 있다. 둘 다 평양에 있는데 묻혀있는 분들이 언제, 어떤 활동을 하였는지에 따라 안장된 장소가 구분된다. 혁명열사릉은 김일성과함께 항일 빨치산 활동을 했거나 그와 직·간접적으로 연계를 됀 ‘항일혁명열사’들을 안장하고자 한 것인데,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 최효일·최윤근 두 명이 그곳에 묻혀 있다. 애국열사릉의 독립운동가는 약력에 ‘반일애국지사’(6명), ‘애국지사’(8명), ‘항일혁명렬사’ 등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 중 독립유공자로 서훈을 받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