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극복, 홍익인간 정신을 논의의 기본 프레임으로 하여 왜 기념관이 필요한가, 그리고 기념관의 운영 방침을 뒷받침할 철학이 무엇인가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분단 이후 7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속된 이산가족의 아픔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민족적 비극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현대사의 중요한 교훈으로서 후대에 전승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남북이산가족 기념관은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통일 교육과 세계평화 증진을 위한 국제적 교육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 세계 실향민들과의 연대를 도모하고 미래 세대에게 평화의 중요성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말합니다. 가족애와 전통 사상을 통한 이념 갈등 극복, 홍익인간 정신과...
[통일/남북관계]
이 연구는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 적용에 의거한 남북통일정책의 실현목표 및 추진전략 등에 관한 실현방향 구상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한다. 우선, 홍익인간 사상의 실천방법은 어떤 전제조건으로 설명되는가? 두번째로, 남북통일정책 추진을 위한 홍익인간 사상의 현대적 적용에 대한 모색이 가능한가? 세번째로, 남북통일정책의 실현목표와 추진전략 등 실현방향을 구상할 수 있는가?와 같은 연구주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홍익인간의 상대관계 고려에 기반한 현대적 적용과 목표설정, 초점, 방법 등의 공공리더십 분석틀(윤종설, 2020)을 적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홍익인간 사상에 대한 성통・공완수행의 방법과, 재세이화의 국내 및 지구촌적...
[통일/남북관계]
...꿈꾸는 이유에 대해 외교정책분석이론의 틀을 활용하여 고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우리는 왜 북방을 꿈꾸는가? 대한민국은 동북아의 중심국가가 되었는가? 우리가 꿈꾸는 세계 일등적 지위는 무엇인가? 우리는 진정 통일을 바라고 있는가? 열려 있는 다양한 통일의 가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우리는 주변국들을 어떻게 설득해야 하는가? 그리고 단군의 홍익인간·경천애인에서 백범 김구의 문화 세계에 이르기까지 우리 국가와 민족이 매진해 온 문화의 힘을 활용하여 어떻게 세계평화에 기여할 것인가?” 등의 질문을
던지고 이에 대해 답하고 있다. 이 책은 노태우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북방정책에서 신북방정책으로의 변화의 긴 여정을 알기 쉬운 언어로 설명함으로써 한국외교정책과...
[학술논문] 白南雲의 단군신화 인식
...이해하는 데 매우 위협적인 ‘반동적’ 역사관에 다름 아니었다. 이에 백남운은 단군신화가 계급사회의 산물이며 시대에 따른 변화의 가능성을 지적하면서 단군이 실재적이지도 특정한 인격자도 아님을 분명히 하였다. 해방 이후에도 백남운은 『조선사회경제사』에서 제기한 단군신화론을 견지하고 있었다. 미군정 아래에서 부르주아민족주의자들이 교육이념으로 홍익인간을 차용하려고 할 때에도 일제의 그것과 다름없는 국수적 반동사관이라고 적극적으로 비판하였다. 또한 한국전쟁기 저술로 추정되는 『조선력사』에서도 기존의 단군신화 인식에 근거하였고, 이후 북한학계에서 진행된 단군신화 토론회에서도 자신의 신화 인식을 견지하였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당시 북한 역사학계는 고조선과 단군신화를 연결시키려고 했기 때문에 백남운의 단군인식은...
[학위논문] 한민족의 전통사상과 통일 : 홍익화백제론에 관한 연구
...
‘홍익인간사상’은 ‘천지인사상, 원사상, 그리고 하나님사상이며, 홍익인간하는 사람(人)은 나와 天地人 사이(間)에서 크게(弘-大) 돕는 길(道)을 찾아, 공정하지 않음이 없고 어느 하나 어둡고 악의적임이 없이, 세상만물의 본성을 존중하여 합리적으로 다스리는 인간사’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홍익인간이념에 따른 삶과 행위를 하기위한 홍익3도(弘益三途)를 실현코자 다음과 같이 ‘홍익화백제도’에 따라, 슬기로운 통일과업을 위한 ‘3태극화백통일’ 방안을 논하였다.
다 음
첫째, 통일철학으로써 홍익인간이념에 따른 자유민주주의의...
[학술논문] 북한 고대사상사에 나타난 원형 담론의 변용: 단군 개념을 중심으로
...양상을 살펴보았다. 북한 철학계에서 단군 담론은 사상의 기원문제와 고조선의 정치사상으로 논의되었으며, 정치 이념의 변화에 따라 해석되며 자기 변용을 거듭하였다. 기원 문제를 보면, 단군신화에 대한 모순된 해석으로 관념론과 유물론이 공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철학의 기원으로부터 투쟁의 역사가 시작될 수 있었다. 정치사상으로서 단군 담론은 북한 당국의 정치 이념에 따라 변화되었다. 정치 이념으로 선군사상이 제창된 시기에 고조선의 건국자인 단군은 군사적 측면의 영웅적인 선인으로 재해석되었다. 그리고 홍익인간사상과 단군겨레사상은 단군을 기반으로 한 북한식 민족주의를 옹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듭났다. 이를 통해 우리는 북한의 단군 담론이 정치 이념의 담론으로서 인민들의 개조를 위한 사상으로 기획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학위논문] 남북한 통일의 기능주의적 접근 방안 연구 : 해원상생 사상을 중심으로
...현실성이 높아 보이는’ 사상으로서 해원상생에 주목하였다.
한편 ‘恨’은 비록 60여년 분단 기간 동안의 단절이 있지만 오천년의 유구한 역사 속에서 민족이 함께 공유한 민족의 고유사상이며, 정서이다. 이러한 恨은 무려 4344년에 걸쳐 선천적이고 동시에 후천적인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우리 민족은 선천적으로 홍익인간의 평화애호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문화 및 예술을 사랑하고, 고통을 내적으로 승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恨의 선천적 요소에 부가하여 외침의 역사와 항상 주변강국에 의해 시달리는 후천적 환경이 가미되어 그 恨이 복잡한 양상으로 심화되어 왔다. 왜 恨이 한국인에게 의미가 있는 것일까? 이는 우리의 역사가 침략에 따른 위축으로 점철되었고, 유교중심...
[학위논문] 국가상징으로서의 삼태극 문양 연구
...천·지·인 삼재(三才)로 말하는 수직구조로서 삼태극을 의미하며, ‘오(五)’는 수평구조로 중앙과 사방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는 단군사상의 핵심인 홍익인간 개념도의 수직구조와 수평구조에는 수직의 시간적 개념과 공간의 수평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수직구조와 수평구조의 교차점은 시간과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고, 그 핵심적 존재가 인간이다. 따라서 우주는 인간을 중심으로 탄생되고 분화(分化)하며 중화(中和)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사상이 인간중심사상(人間中心思想)이며 인극(人極)중심의 세계관이다. 이러한 홍익인간 정신은 한국의 최초 국가인 고조선의 통치이념이 되었으며 이 사상은 우리민족의 사유 체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우리민족의 사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