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꿈하늘」의 새로운 읽기-역사담론을 중심으로-
...이후 묻혀 있다가 1964년에 세상에 빛을 보았다. 단재는 「꿈하늘」에서 우리나라의 지리적 강역을 분명히 하고, 주체적 민족정신의 계통화를 추구했다. 그는 『신지비사』와 『남제서』를 통해 고조선과 백제의 강역을 분명히 했다. 그것은 사라지거나 잊혀진 우리의 강역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아울러 그는 우리 역사에서 자주적 낭가사상을 강조했고, 화랑의 역사적 계통을 밝혔다. 그러므로 현재 탈락된 역사 담론 부분은 작품 구성에 또 다른 하나의 축이며, 남아있는 작품의 서사를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작품의 주제의식을 강화하고 더욱 분명히 해준다는 점에서 결코 무시하거나 배제해선 안 된다. 오히려 「꿈하늘」 유고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물며 단재는 자신의 원고에 함부로 손대는 것에 대해...
[학술논문] 월북 국악인 조상선의 창극 활동과 의미
...1909년 3월 11일 전라북도 남원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조상기이다. 그가 정정렬의 수제자이자 그의 뒤를 잇는 창극계의 실력자였다는 사실은 비교적 익히 알려져 있으나, 어린 시절의 스승이 누구인지는 분명히 확인되지 않는다. 창극 배우로서의 조상선은 주로 조역으로 출연했지만, 1930년대 후반부터 창작과 연출에 큰 관심을 보였다. 1940년대에 들어서 화랑창극단과 동일창극단에서 다양한 창극 음악을 새롭게 시도했다. 그의 작업은 그가 월북한 이후로도 창극 배우들, 특히 여성국극의 전성기에 활동했던 제자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승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해방 이후 조상선은 국악원 산하의 창극단인 국극사의 대표이사를 맡을 만큼 창극계의 대표적인 인물로 활동했다. 창극 배우뿐 아니라 작곡가·연출가·안무가...
[학술논문] 6.25전쟁 시기 한국경찰의 역할과 호국정신
...발굴하여 호국경찰로서 경찰이 수행했던 다양한 임무와 역할을 기술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6·25전쟁 당시 경찰부대가 참가하였던 주요 전투위주로 사례를 분석하여 작전의 기여도를 평가함으로써 경찰의 호국정신을 재조명하고자하여 함의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6·25전쟁 초기 개성철도경찰대 작전과 최근 발굴된 경찰화랑부대의 장진호 전투 그리고 경찰의 희생이 가장 많았던 후방지역 공비토벌 작전을 중심으로 경찰작전 사례를 살펴보기로 하고, 경찰의 주요 인물상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또한, 경찰의 전투사례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경찰 자체 분석 자료와 경찰과 군에서 연구한 전쟁사, 참전 회고록, 당시 신문기사 등 사실적 사료를 활용하였다.
[학술논문] 東學의 韓民族 精神史的 意義
19세기 후반 조선사회는 봉건전제사회가 갖는 모순의 누적으로 안으로는 치유불능의 고질병에 걸려 민중들은 도탄에 빠져 신음하고 있었으며, 밖으로는 서세동점에 의한 서양 및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심각한 도전을 받아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처해 있었다. 동학은 이 같은 위기 상황에서 보국안민과 광제창생을 위해 창도된 한국의 대표적 민족종교 중의 하나이다. 한국의 민족종교 중에서 동학이 갖는 한민족의 정신사적 의의는 동학정신의 연원이 한민족의 뿌리정신에 근거한다는 것에 있다. 그래서 오늘날 분단된 한국의 현실에서 동학이 갖는 의의는 실로 매우 중대하다하겠다. 그것은 동학정신이 한민족의 잃어버린 뿌리정신의 부활이란 관점에서 한민족 주체의식을 제고해 주는 각성제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남북한의 통일과정이나 그 이후에
[학술논문] 20세기 한국사상 원형의 국가주의로의 전향 - 안호상과 김정설을 중심으로-
...과정을 고찰하였다. 안호상의 경우 이승만 정권에서 ‘단군’과 ‘풍류’ 담론을 일민주의에 토대가 되는사상으로 변용시켰다. 그리고 박정희 정권에서 김정설은 ‘풍류’와 ‘화랑’정신을 국민윤리로 재구성하였다. 그들은 서양의 국가주의를 수용하기보다, 전통철학을 변용한국가주의를 주장하였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단군’ㆍ‘풍류’ㆍ‘화랑’의 원형 담론은 제도나 교육그리고 정치이념으로 선전화되고 확산되었다. 다시 말해 원형 담론은 민족주의와 반공주의적으로 변용되어 국민들을 순치시키며 내면화시키는 수단이 되었던 것이다. 그들이 주장한 국가주의는 한반도에만 존재하는 국가주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