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영화 속의 동아시아-귀환의 문제를 중심으로-
...귀환의 불가능성이 주목된다. <마이웨이>는 동아시아 역사를 휴머니즘으로 포괄하려 했지만 결국은 어느 나라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결과를 맞았다. 결국은 주인공들도, 그리고 동아시아의 과거도 귀환하지 못했다. <황해>는 현해탄 콤플렉스를 대체하는 황해 콤플렉스를 다루었다. 이 새로운 콤플렉스의 의미는 양안에서 다른 데, 중국에서는 한국에 대한 경제적 선망으로 나타나고, 한국에서는 중국 동포들을 범죄시해서 보는 공포감으로 드러났다. 황해의 주인공인 조선족 청년은 이 콤플렉스에 대한 양안의 관점 사이에서 뭍으로는 돌아가지 못하고 그 사이에 바다에 버려진다. <베를린>이나 <용의자> 등의 최근 첩보 블록버스터 영화들은 주인공으로 육체적으로 초인화 된 북한공작원을 다루는데, 이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