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군 병영생활을 통해 본 김정일-김정은 시대 당・군 관계 변화: ‘이중적 후견관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군 병영생활을 통해 김정일-김정은 시대 당·군 관계 변화를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군 출신 북한이탈주민 18명의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정치군관↔병사↔군사지휘관’ 간의 권력구조와 상호작용을 ‘이중적 후견관계’라는 분석틀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김정일의 선군정치 시기에도 당에 의한 군의 지배원칙은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김정은 시대에는 당 중심 체제 정상화로 군에 대한 당적 통제가 더욱 강화되었다. 특히 김정은 시대 들어 입당권 제한과 정치군관의 권한 확대로 정치군관-병사의 후견관계 양상이 더욱 강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북한의 당-국가체제하에서 일관되게 군이 당의 통제하에 있음을 보여준다.
[학위논문] 조선인민군 내 당‧군 관계 변화 연구 : 장교-병사와의 ‘이중적 후견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견주의’로 일컬어지는 미시적 관점의 이론을 활용하여 조선인민군 내 당과 군의 관계를 정치군관-군사지휘관, 그리고 병사를 ‘이중적 후견관계’로 규정하고, 새로운 분석틀 속에서 김정일-김정은 두 시기를 동태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인민군 내에서 당과 군의 권력관계와 통제체제의 변화와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중적 후견관계의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조선인민군 내 당·군관계 변화를 두 시기별, 정치군관-군사지휘관과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여 다음의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김정일-김정은 시대 시기별 함의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 당-국가체제...
[학위논문] 조선중앙TV 비주얼 프레임 변화 연구 -남북정상회담 보도를 중심으로-
...연구는 새로운 접근법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후견주의’로 일컬어지는 미시적 관점의 이론을 활용하여 조선인민군 내 당과 군의 관계를 정치군관-군사지휘관, 그리고 병사를 ‘이중적 후견관계’로 규정하고, 새로운 분석틀 속에서 김정일-김정은 두 시기를 동태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인민군 내에서 당과 군의 권력관계와 통제체제의 변화와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중적 후견관계의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조선인민군 내 당·군관계 변화를 두 시기별, 정치군관-군사지휘관과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여 다음의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김정일-김정은 시대 시기별 함의는 크게 두 가지였다. 첫째, 당-국가체제...
[학술논문] 북한사회 뇌물 연구의 성찰과 제언 - 러시아 블라트(blat) 경험이 주는 함의 -
...환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뇌물의 만연’은 ‘뇌물’과 ‘뇌물 아닌 것’의 미분리라는 성격을 함의한다는문제의식 하에 ‘부패’의 관점을 넘어 뇌물-들에 대한 유형적 구체화와 동학적 이해를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은 뇌물이 매개하는 ‘연줄’과 ‘후견관계’에 내재한 수직적-수평적 관계의 상호 구성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주의시기에 형성된 비공식 네트워크와 수평적 교환의 포스트-사회주의적변형에 대한 심도 깊은 사회학적 연구가 축적된 바 있는 블라트(blat)의 연구들을 검토한다. 블라트는 중앙집중적 관료체제와 부족의 경제가 발생시킨 특수한비공식 네트워크이다. 소비재...
[학술논문] 계급이론으로 바라본 북한사회
...속에서 농민들이 식량을 은닉하고 밀매한 사실로 알 수 있듯이 조선노동당은 농민 혁명화에도 실패했다. 북한사회의 인텔리 역시 조선노동당 계급이론이 말하는 ‘노동계급의 인테리’라기보다는 조선노동당에게 충성하는 인텔리에 가깝다. 이러한 조선노동당 계급이론과 북한사회 실제의 괴리는 북한사회에서 시장화가 진전되면서 더욱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관료, 노동계급, 농민이라는 3대 계급 사이에서 생산수단을 ‘사실상’ 소유한 소고용주가 등장함으로써 자본가계급 소멸론은 설득력을 잃게 됐다. 또한 관료와 소고용주가 후견 관계를 맺음으로써 관료의 계급적 속성이 더 강해지고 있고, 시장화 진전, 조선노동당 농업정책 등의 영향으로 농민의 소자산가 의식은 갈수록 공고해질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