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의 ‘통일신라’ 인식 -최근 발행한 남북한 중고등 역사 교과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표제어로 사용하였던 ‘남북국시대’는 뒤로 물러났다. 그러니까 교육개정 과정에서 인식의 전환이 있었고 그 결과 ‘남북국시대’는 전면 표제어에서 사라지고 다만 교과서 내용 중에 간단하게 서술하는 것으로 처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북한 교과서에서는 ‘통일신라’라는 표제어 대신에 ‘후기신라사’가 보인다. 이는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한 인식과 직결되어 있는데 이는 통일신라를 인정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인식의 차이는 결국 신라의 삼국통일을 바라보는 남북의 관점이 서로 다름을 말해준다. 북한은 고구려를 이어 곧바로 발해가 계승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고구려에서 발해로 이어지는 역사의 정통성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학위논문] 북한 문학 교육 연구 : 『국어문학』과 『문학』 교과서 비교 고찰
...등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를 보이게 된다.
북한 문학사 및 이론에 대한 기술은 1970~1980년대는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1975)에, 1990년대 이후는 『주체문학론』(1992)에 근거하게 된다. 따라서 문학 이론 단원에서 나타나는 문학 용어 및 수록 내용의 변화, 문학사 단원에서 나타나는 고구려와 발해 문학의 강조, 후기신라에 대한 언급, 시조 문학에 대한 자세한 수록, 실학파 문학의 우수성 인정, 비판적사실주의문학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 계몽기 문학사의 수록, 김정일 친필활동에 대한 기술 등의 변화는 김일성에서 김정일로의 변화, 『주체사상에 기초한 문예리론』에서 『주체문학론』으로의 변화가 반영된 것이다.
1997년 개편된 『문학』 교과서에는 새롭게...
[학술논문] 남북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동향과 과제‒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봉건국가로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북한에서는 고조선사를 서술하면서 남한에서 僞書라고 규정한 『규원사화』, 『단기고사』, 『단군세기』 등을 사료로서 이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몽과 온조가 고구려와 백제를 건국한 연대를 각기 기원전 277년, 기원전 258년이라고 수정한 다음, 이에 맞추어 고구려본기와 백제본기 기록의 기년을 대폭 소급하여 새롭게 조정하였다. 후기신라사와 발해사연구는 맥락상으로 1980년대의 연구와 크게 달라진 측면을 발견할 수 없다. 남한에서 2000년대에 매년 300편 이상,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400여 편 이상, 2015년 이후에는 매년 500편 이상이 넘는 고대사 논문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2000년 이후 남한학계의 한국고대사 연구성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학술논문] 통일 후 역사교과서 한국고대사 내용 구성을 위한 검토 -고조선, 고구려사를 중심으로-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과하게 사회구성체론에 의존해 서술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자국 역사를 지나치게 과장한 대동강 문화론과 고조선사 서술도 우려가 되는 실정이다. 이와 유사하게 고구려사도부풀려진 측면이 있는 반면, 백제‧신라‧가야는 축소되고 피동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통일 시대의 역사 교과서를 구성함에 있어 북한 교과서로부터 참조해 협의할 부분도 몇 가지 존재한다. 먼저 고조선사의 시기 구분이다. 한국 학계도 이제 고조선사의 시기 구분을 본격적으로 논의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구려 국가 형성 시기를 삼국사기의 건국 기년보다 상향하고 이를 교과서에도 반영하여야 한다. 끝으로 남북국 시대와통일 신라 및 후기 신라 용어에 대한 반성과 협의가 필요하다.
[학술논문] 북한 고등학교 『조선력사』 교과서 ‘원시사회~발해와 후기신라’에 서술된 ‘창조의 역사’
이 논문에서는 1982년부터 2001년까지 발간된 북한 고등학교 『조선력사』 교과서 가운데 원시공동체사회부터 ‘발해와 후기신라’까지의 ‘창조의 역사’ 관련 서술을 검토하였다. ‘창조의 역사’는 노동을 통해 창조한 생산 활동과 문화예술을 말한다. 원시공동체사회에서는 노동을 통한 생산 활동이 중심 내용을 이루고, 고대사회 이후는 문화예술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문화예술에 대한 서술에서는, 1990년대 이후 세계문화사적 관점에서 유구성과 우수성, 독창성이 더욱 강조되었고, 고구려와 평양 중심주의가 강화되어 나가면서 계급적 한계성도 지적되었다.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말씀’이 단원마다 앞부분에 길잡이로 서술되어 있어서, 북한정권의 현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