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북 시기 조운 시조의 한 양상
Choun is representative writer of Yeonggwang regional literature. He was almost the only sijo poet in North Korea from 1949 when he defected to early 1960s. This study aims to find and to introduce last 6 works published in North Korea by Choun. Technique of expression is a common point of these 6 work. In conventional lyric poetry, author tells his own experiences but Choun’s 6 works are somewhat...
[학술논문] 북한 전후 시대의 서정시 의식 고찰
본고는 북한 서정시의 흐름 중에서 1950~1960년대 북한 전후 시대 시에 나타난 서정시 의식 전개와 특성에 대한 고찰이다. 거기에는 남북한의 평화통일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민족 문화적인 동질성을 회복해야 하는 것을 전제로 체제와 이념을 넘어선 서정성이 담보된다. 문학에서 서정성은 인류 보편적 인식이며 본질적으로 언어에 투과되기 마련이다. 그간의 연구들은 대체로 북한 서정시의 전개 과정과 문학적 이해를 주체사상 구축에서 기인한다. 이데올로기와 체제 강화를 위해 문학을 도구화해 온 북한 서정시는 사회주의 현실을 토대로 형상화된다. 또한 북한시편의 정형률 자체가 주체문학에 입각한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에서 서정시는 수령과 당에 대한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이데올로기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창작된다. 이 글에서 주목한 것은...
[학술논문] 박팔양의 북한 시 연구
...참여하는 용감하고 지조 있는 인물로 그려진다. 강인한 여성상을 구현하는 시인의 의식 저변에는 당과 수령 앞에 남녀의 차별은 없다는 당성의 일면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 편의 서사시를 쓰기 이전까지 작품에서 여성은 남성의 보조자로서 소극적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당성을 증명해야만 하는 시기가 도래하면서 시인은 자신의 사상적 전환을 표현하기 위하여 여성 전쟁영웅을 통해 봉건의식을 타파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1960년대 이후 작품에서도 여성은 생활 속 영웅이자 주동적인 인물로 거듭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권력의 중심에 있었지만 언제 닥칠지 모르는 숙청의 가능성과 두려움 속에서 박팔양은 권력 내 입지를 굳히고 당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여성을 주체적으로 재현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학술논문] 북한문학 속의 김소월 1
...서로 다른 이념적 잣대로 평가받고 있는 것이다. 1960년대 중반까지의 북한문학은 김소월을 ‘비판적 사실주의’ 시인으로 규정한다. ‘비판적 사실주의’는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되기 전 단계의 사상적 문학적 한계를 가진 작가와 작품에 부여된 명칭으로, 김소월이 일제에 빼앗긴 조국과 인민에 대한 사랑, 민요조의 율격으로 향토성, 애국성, 인민성을 보였지만 애상성이 과도하고 계급성이 부족한 한계를 보였다고 판단한 것이다. 소설가 나도향과 함께 대표적인 비판적 사실주의 작가였던 김소월은 1960년대 중반 다른 카프계열 작가들과 함께 북한문학계에서 사라졌다. 이후 20여년 후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초반에 복권되며 북한문학계에 김소월이 다시 등장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