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측 학자의 「농악」 인식과 논의 경과, 그리고 의의 분석 -「農樂에 關하여」와 「농악놀이」 두 가지 예증을 구실삼아-
이 글은 북한 쪽에서 진행된 농악에 대한 글 두 편을 대상으로 하여 농악에 대한 남북한 공통의 인식 과정을 점검한 것이다. 하나는 1950년에 작성된 것으로 『문화유물』 제2호에 실린 글로 「조선농악에 관하여」이고, 다른 하나는 1964년에 간행된 『조선의 민속놀이』에 실린 「농악놀이」이다. 두 편의 글은 온당하게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두 글 사이에 일정한 관련이 있음을 염두에 둘 때에 유기적인 전개를 핵심으로 한다. 두 편의 글은 농악이 긴요한 음악이고, 우리 민족의 중요한 연희의 산물임을 알게 하는 글이다. 한 편의 글은 집단적인 담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농악의 개념이나 역사적 경과, 농악의 지역적 분포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으며, 농악이 장차 어떠한 인민악의 전형이 되어야 하는지 진중하게 논의한...
[학위논문] 북한 문학 교육 연구 : 『국어문학』과 『문학』 교과서 비교 고찰
...1984년 개편된 『국어문학』 교과서에는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 지적’이 비슷한 비중으로 수록된다. 이후 김일성 사망후인 1997년에 개편된 『문학』 교과서에는 ‘김정일 말씀’의 수록 비중이 ‘김일성 교시’의 4배 이상 증가하게 된다.
김정일은 김일성의 후계자로서 새로운 사상을 창시하는 것이 아니라 김일성의 사상을 해석하여 정식화, 이론화, 체계화시킴으로써 사상을 계승하는 영도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1964년 문학예술부문에 대한 지도를 위임받게 된 김정일은 이 시기부터 문학예술에 관한 수많은 저작을 발표하면서 북한의 주체문예이론을 만들어나간다. 북한 주체문예이론의 대표 저서인 1975년 발행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