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CP 시나리오 기반 CMIP5 GCMs을 이용한 동북아시아 미래 기후변화 불확실성 평가
전 지구와 남한, 북한, 일본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대한 기온, 강수량, 일사량의미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총 34개 GCM에 의해 작성된 CMIP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전 지구 평균보다 기온과 강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RCP 8.5 시나리오의 2080년대 북한 지역에서는 비록 GCM 간 예측의 불확실성이 크지만 과거 30년(1971-2000년)에 비해 기온은 5.1℃, 강수량은 18%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일사량의 경우 전 지구평균 일사량은 RCP 2.6 시나리오를 제외한 모든 RCP 시나리오에서 대체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것으로 예측되었으나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대체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운량 감소의 영향으로...
[학술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역사의 내전(內戰)화:<일간베스트저장소>의 5·18 언설을 중심으로
...부여받은 5․18은 극우보수집단에 의해 북한의 지령이나 북한과 연계된 불순분자들에 의한 내란과 폭동으로 재서술되고 있다. 내란과 반란, 폭동의 주범들이 보상을 받고 종북좌파가 득세하는 국가가 탄생했다고 주장하는 극우보수집단의 서사는 5․18을 향한 극단적 적대감을 고취시킨다. 정당, 대학, 언론, 시민단체 등에서 활동하는 극우보수인사들이 5․18의 역사와 기억을 자신들의 서사 속에서 재정립하려는 담화 정치를 수행한다. <일베>에서 ‘젊은 우파’ 집단으로 평가받는 이들 또한 5․18에 대한 극우보수집단의 언설들을 지지하고 확산시킨다. <일베>는 극우보수인사들의 언설과 5․18 관련 정보들의 재구성과 재생산의 주요한 통로이다. <일베>는 5․18에 대한 폄하와...
[학술논문] 북한의 비대칭전략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북한은 군사적 모험주의 아래 끊임없는 공격행위를 자행하였으며, 그 양상은 3차례의 NLL 무력화 시도 작전인 서해 해전 강현욱,『북 비대칭 전력 대응방안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2012, p. 4 ① 1999년 6월 1차 연평해전(한국 승, 아측 피해 : 함정 2척 손실, 약간의 인명부상, 북한 피해 : 9명 사망, 함정 6척 대파) ② 2002년 6월 2차 연평해전(대한민국 승, 아측피해 : 함정 1척 손실, 6명 전사, 18명 부상, 북한 피해 : 경비정 1척 대파, 13명 사망, 25명 부상) ③ 2009년 11월 대청해전(대한민국 승, 아측피해 : 없음, 북한 피해 : 함정 1척 완파, 인명피해 다수 추정) 의 패전을 계기로 점차 수단적인 측면에서 다양화ㆍ확장ㆍ복합적ㆍ새로운 시도로 변하고 있으며...
[학술논문] 최근 북한학계에서 이룩한 고구려 고고학 성과
...조사하고 고구려 벽화무덤 10여 기를 새롭게 발굴하였다. 본고는 새 세기에 들어서서 북한학계에서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고구려 성곽과 벽화무덤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요약 소개하였다. 북한 사회과학원고고학연구소에서는 2010년부터 5년간 선후하여 평양성․적두산성․안학궁․청암동토성․청호동토성 등 평양일대의 고구려 도성유적 및 주변 산성, 황룡산성 등 남포시 지역의 고구려 산성, 수양산성 등 황해도 지역의 고구려 산성, 운두산성 등 동해안일대의 고구려 산성, 통주성․백마산성․릉한산성 등 평안도일대의 고구려 성곽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부분구간을 발굴하였다. 또한 북한 고고학계에서는 잇달아 고구려시기의 벽화무덤을 여러 기 발굴하였다. 여기에는 민속공원건설과정에서 발견된 민속공원1호벽화무덤, 북한에서 왕릉급으로...
[학술논문] 평화, 천황 그리고 한반도: 와다 하루키와 전후 일본 평화주의의 함정
...비판적 자기성찰을 전후 일본 재생을 위한 시금석이라 간주했다. 그리고 이런 관점 속에서 연구자로서의 자기 관점을 확립해나간다. 근대 러시아 사회경제사를 주전공으로 삼아 학계에 자리 잡은 와다는 1970년대 유신정권 하 한국의 민주화 운동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면서 한반도 문제를 논하기 시작한다. 특히 김대중 납치사건과 뒤이은 반독재 투쟁 및 12․12 쿠데타와 5․18 광주 민주항쟁에 이르는 한국의 정세는 와다로 하여금 단순한 운동 차원이 아니라 비판적 연구대상으로서 한반도를 자리매김 하게끔 했다. 이후 와다는 1980년대 후반부터 한국전쟁과 북한 연구에 착수하여 냉전붕괴라는 정세 하에서 새로이 등장한 한반도 연구의 세계적 패러다임 속에서 굵직한 연구를 제시한다. 이러한 와다의 한반도 연구를 지탱하던 기본 관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