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민국 민족 서사시: 종족적 민족주의의 전개와 그 다양한 얼굴
...발전해 왔다. 식민유산으로부터 비롯된 종족적 민족주의는 해방이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정권의 반공주의를 통해 북한을 타자화, 악마화하며 남북한의 형제자매를 하나의 순수한 종족으로 통합하는 통일민족국가를 상상하는 것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이승만에서 박정희 정권에 이르기까지 반독재 민주화 담론에서 감상적인 차원에 머물렀던 민족통일 담론은 5·18 광주민중항쟁에서 촉발된 반미적 학생운동의 성장과 함께 미국과 꼭두각시 대리군사정권이라는 또 다른 종족의 적을 상정하며 투쟁했던 저항의 종족적 민족주의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분화 속에서 급진적 반미주의에 기반을 둔 학생, 시민사회 진영의 종족적 민족주의는 반독재 민주화 투쟁의 전위대로서 한국사회의 진보의 한 축을 담당했지만 주체사상과의 연결고리로 인해 정권의...
[학술논문] 5・15 서울역 회군과 5・27 결사항전 비교 연구
이 연구는 5・15 서울역 회군을 이끌었던 서울대 학생지도부와 5・18 항쟁의 주역 가운데 하나인 윤상원과 시민군의 5・27 결사항전에 초점을 맞춰 두 개의 사건이 한국 민주주의의 전개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그 역사적 함의가 무엇인지를 비교사적 방법을 통해분석한다. 두 사건의 공통점은 1980년 5월 대한민국에서 신군부의 권력욕이 작동한다는 점에서동일한 역사적 정치적 조건 위에 있었다. 시간적으로 5・15 서울역 회군 직후에 5・18 광주민중항쟁이 발생한다. 하지만 두 사건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5・27 전남도청에서 윤상원과 시민군은 피할 수 없는 상황에 맞닥뜨리자 결사항전으로 죽음을 선택했다. 반면 5・15 서울역 회군에서학생 지도부가 공수부대가 투입된다는 공포로 인해 후퇴를 선택해,...
[학술논문] 6.25 정전협정의 관점에서 518 관련 중국 측 자료 평가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런민일보[人民日報]』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중국 측의 5‧18 민중항쟁 관련 자료 100여 편을 최초로 발굴 및 정리하고 그 의의를 평가한 연구결과의 일부이다. 중국 측의 5‧18 관련 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하면 미중 경쟁시대의 한중 교류 기획을 포함한 다양한 국제교류 콘텐츠 구상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관련 자료를 발굴하고 그 활용 방안을 제안했다. 광주 민중항쟁은 장기간 이어진 군사독재를 종식시키고 민주적 정권의 창출을 염원하는 한국의 민주화운동에 대해 신군부가 전국비상계엄 실시라는 반(反)헌법적, 초법적 새로운 독재를 의도함에 따라이에 저항한 전라남도 광주시민들의 정당하고 합법적인 민주화 운동이었다. 그간 무고한 국민들을 향해 반역사적, 반민주적 발포 명령을 내린 책임자와 그 과정의 진상을 규명하는 일에 대하여 ‘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