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경제의 재구성 - part II : 『근로자』와 『경제연구』 등 북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있다. 자원이 부족한 가운데 자립적 경제 기반을 구축하려 하였던 북한은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1986년 전면적개혁 조치라고 할 수 있는 연합기업소체제를 구축한다. 첫 번째 논문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연합기업소체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는 1986년까지『근로자』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때까지 형성된 북한 경제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으며 두 번째 논문은 1987년부터 출간된 『경제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연합기업소체제가 북한에서 정착되는 과정, 소련의 몰락으로 시작된 전례 없는 경제위기에 대한 북한의 대응, 그리고 1990년대 말 실리와 선군이 동시에 나오게 된 배경을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7·1 조치’ 그리고 ‘선군정치’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하였다.
[학술논문] ‘사회주의 완전승리’ 테제와 북한의 경제노선 변화 연구 - 공격적 발전전략에서 수세적 방어전략으로의 전환
이 논문은 북한의 ‘사회주의완전승리’ 테제(이하 테제)와 경제노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냉전기와 탈냉전기로 시기를 구분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정책비교 방법으로서 ‘대안체계’와 ‘7·1 조치’를 다루었다. 분석결과 테제는 주체사상을 이론적 토대로, ‘안보에서의 자위’를 대전제로, ‘경제에서의 자립’, ‘정치에서의 자주’가 전략적가치로 구성된 사회주의 발전전략이었다. 경제적으로는 생산력 발전을, 정치적으로는 공산주의 건설을 목적으로 하였다. 냉전기에는 공격적 발전전략으로 사회 전 분야에 적용되는 지배 메커니즘으로 작동되었으며, 탈냉전기에는 선군사상으로...
[학술논문] 북한 공식-비공식 노동시장의 형성과 여성
북한의 사회주의 계획경제는 1990년대 경제난과 2002년 7·1 경제관리개선조치 이후로 변화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1990년대 이후경제난과 2000년대 초반 개혁적 조치의 과정에서 비공식경제가 부상하면서노동시장이 이중화되었다는 점과, 특히 여성들이 노동시장의 비공식 경제 부문에서 주로 활동하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북한공식-비공식 노동시장의 형성을 시기별로 분석하고 비공식부문에서 여성 경제활동의 확대를 살펴보았다. 북한에서는 1990년대 경제난, 2000년대 초반개선조치, 2000년대 후반 개혁에 대한 축소 노력기 등 세 시기를 거치며 비공식경제가 활성화되었다. 남성가부장 및 가구중심의 배급제라는 제도가 유지되는 가운데, 경제난 시기부터 여성들은 가족의...
[학술논문] 남북한경제관계 확대와 정치적 분쟁의 인과성 분석
...통일 등에 근거하여 학자와 정책입안자들은 남북한 간의 경제교류협력을 한반도 분쟁완화와 통일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때에 남한 정부의 ‘남북경제개방조치’로 남북한 간의 경제교류가 1989년부터 시작되었다. 1989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남북한 간의 경제교류협력현황을 보면 총 누계교역액은 196억 75,266천 달러이고, 반출(남한에서 북한으로 수출)은 99억 13,230천 달러 그리고 반입(북한에서 남한으로 수출)은 97억 50,036천 달러로 남한의 무역수지흑자가 1억 63,194천 달러로 분석되지만 사실은 반출에는 원조성교역인 비상업적 거래성교역이 29억 29,213천 달러가 포함 되어 있다. 특히 비상업적 거래성교역액 중에는 22억 6,890천...
[학위논문] 南韓과 北韓의 法的 基本關係와 統一 前後의 私法適用에 관한 硏究
...개정만이 요구된다. 그러나 합병형 통일의 경우는 남한과 북한의 모든 사법관계 법령의 효력이 상실되므로 새로운 법령을 제정해야 한다. 물론 상이점을 나타낸 재산·신분에 관한 사법관계 법령 등에 관한 새 법령의 제정은 필수적이며, 기타 다른 모든 법령의 통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장기적인 계획의 수립·추진, 통합을 위한 잠정적 특별조치의 실시, 법문화의 통합, 정부당국의 적극적인 지원과학자·전문가의 적극적인 참여 등이 요청되고 있다.
넷째로 사법통합의 주요 과제인 북한지역 몰수토지의 소유권문제, 남한의 호적에서 제적된 가족의 복적문제, 남한과 북한에 이산된 부부의 중혼문제, 남한과 북한에 이산된 상속인과 피상속인의 상속문제 등에 관한 해결방안은 현행법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