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등교사 대상 문화다양성 연수프로그램 시범적용 사례 분석: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기반한 ‘문화다양성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운영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선 UNESCO 협약에 근거하여 언어, 성, 계급, 북한이탈주민, 인종, 장애등을 포함하는 ‘문화다양성’개념으로 다문화교육의 요소를 확장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연수의 방법론적으로는 Bennett의 다문화교육과정 모형과 Banks와 Kolb의 성찰적, 변혁적 접근에 입각하여 학습자의 자기표현과 체험, 반성적 활동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성찰활동 기반 문화다양성 연수프로그램’을 구체화하였다. 개발된 연수프로그램의 시범적용은 총 30차시로 개발된 내용을 10차시로 요약하여 2013년 2월 22일∼23일 양일간 21명의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술논문] 통일 후 북한 지역의 한시적 금융제도 및 금융시장 구축 방안 - 중국 금융제도 및 금융시장 발전을 중심으로-
...develop into bank-oriented market in a reasonable period of time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wo economies. It need to various levels of banks that consist of state-owned banks, commercial banks, and municipal commercial bank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banks, it need to develop capital market, especially securities market gradually. It is natural that financial institutions and market of the...
[학위논문] 북한의 달러라이제이션과 물가 안정
...lowering the level of dollarization can be a way to maximize seignior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stabilization of market prices in North Korea since 2013 is the result of central banks' monetary restrictions aimed at maximizing seigniorage. In other respects it can be seen that the spread of dollarization has deteriorated the monetary authority's ability to implement monetary...
[학술논문] 통일 후 남북한 금융 통합과 분리에 관한 연구
...should be integrated in the end after sustaining the temporary separation. It will be fitted for the identity of the reunified state that the financial institutions including central bank, policy banks, and financial regulatory system should be also unified after the transitory separation. However, it is suitable that financial market should be recognized as market. In case the market is integrated...
[학위논문] 경제난 이후 북한의 금융제도 변화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 상업은행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금융제도를 도입하면서 기대한 정책목적이 무엇이었는지 추정해보고, 정책목적이 실제로 달성되기 위한 조건을 검토해 보는 것이다. 더불어 북한의 금융주체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사금융을 포함할 경우의 주어진 제도와 정책목적 하에서 최선 및 최악의 금융 경로를 살펴볼 것이다.
김정일 시대 북한의 금융제도는 이원적 은행체계의 도입을 위한 법제정 등 외형상의 변화를 시도했으나, 고전적 사회주의 금융과 차이가 크지 않았다. 다만, 북한의 정책설계자들에게 이제 시장은 배척할 대상이 아니며 시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교한 미세조정(fine tuning)이 필요하다는 경험을 남긴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2015년 김정은은 북한의 금융변화를 ‘경제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