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 한국군 군사력 건설방향에 대한 연구- 북한 핵위협과 주변국 위협대비를 중심으로 -
...한다. 군사력 건설을 통해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한 억제력 발휘가 가능하다. 군사적 억제력 발휘를 위해 첫 번째로 ‘선제적 억제’(deterrence by preemptive)와‘응징적 억제’(deterrence by punishment)는 현재와 미래의 위협에 대비하여 ‘감시정찰체계와 지휘통제체계’(C41SR)를공통전력으로 공격무기체계를 결합한 ‘공격체계 축’을 건설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거부적 억제’(deterrenceby denial)는 공통전력과 방어무기체계를 결합한 ‘방어체계 축’을 건설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주적으로첨단전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학술논문] 북한의 KN-23 (19-1) 전술 미사일 연구
...군사적으로 남한의 공군력, 특히 스텔스기 기지와 무인정찰기 기지 등을 점표적으로 타격하기 위한 것, 또한 공군기지, 해군 항만기지와 포항제철 등의 전략시설을 면적사격하기 위해 정밀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정치적으로 바이든 정부 출범에 대한 존재감 부각과 북한문제 우선 인지 압박, 대북제재의 회피, 한미 연합훈련 대응, 주민들에 대한 교육 홍보 등의 다목적으로 시험발사를 하였음을 기술하였다. 북한은 이러한 전술 미사일을 운용하기 위하여 전략군사령부 또는 포병사단 예하에 전담 부대를 창설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한반도내 미군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반접근·지역거부((A2/AD)와 ‘거부적 억제(deterrence by denial)’전략으로 운용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학위논문] 북한의 대남도발 양상과 정전체제의 유용성 연구
...securing U.S.‘s nuclear umbrella or the ability of Deterrence by Punishment such as customized expansion suppression; ⑫ measures such as South Korea’s nuclearization, U.S.‘s strategic nuclear deployment, building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 fostering cutting edge non-nuclear(conventional) force could provide Deterrence by Denial.
Fourth, the ways to neutralize external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