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상북도 후포와 강원도 장호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된 어류 종조성 비교
...East Sea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These are located roughly where the Tsushima Warm Current and North Korea Cold Current intersect.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Thermal Front, we investigated seasonal variation in fish species composition using set nets in two areas located north (Jangho, Gang-won-do) and south (Hupo, Gyeong-sang-buk-do) of Jukbyun, Gyeong-sang-buk-do, and compared the sea water...
[학술논문]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 모색
1992년부터 우리 정부가 동해(East Sea) 명칭의 세계 확산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여전히 적지 않은 동해 명칭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동해를 외국인이 쉽게 인지하고 우리 동해의 정체성을 제고하는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첫째, 동해(East Sea) 명칭이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배경에 관하여 살펴본다. 둘째, 기존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이 중국 동지나해(东海, Donghai, East China Sea)와 베트남 동해(Biˆen Dˆong, East Sea)의 명칭과 차별성이 없음을 밝히고, 북한(조선동해, East Sea of Korea) 명칭과의...
[학위논문] 韓半島의 海洋戰略 發展에 關한 硏究 : 해군력 증강을 중심으로
...naval forces to meet future challenges from the sea and at sea.
As a result of this study, I have determined that following areas will require improvement in order to defend national interests. First, the maritime area becomes more important than before since natural resources are scarce and global competitions at sea is severe, especially in the East Asia area, therefore sufficient naval power...
[학술논문] 경계로서의 ‘해양’에 대한 일고찰 - 재일조선인의 시선을 중심으로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experience of ‘East Sea’ as a border or sea boundary affected identity building among Korean residents in Japan, mainly on minority magazine media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hich were issued around December, 1959 when the first returning ship started from Niigata port in Japan to Cheongjin port in North Korea. It was found that many Korean language magazines...
[학술논문] 극동러시아 해외농업개발 활성화 연구
1. 국제 곡물시장 여건은 주요 곡물 생산지에 이상기후 발생빈도 증가, 신흥경제대국(인도, 중국 등)의 곡물 수요 증가,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생산 문제 대두 등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이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동성에 대응하고 식량 안보를 강화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극동러시아를 비롯하여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으로 진출하고 해외농업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2. 극동러시아에는 2015년말 기준으로 13개의 농기업이 진출하여 있으나, 1) 곡물저장 시설의 노후화, 2) 물류시스템의 부재, 3) 저장 및 가공시설의 부재 등의 애로사항이 있다.
3.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결하고 극동러시아의 농업 개발을 위한 방안으로 농산업복합단지 구축, 곡물터미널 및 곡물엘리베이터 구축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