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Korea’s Rur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he Saemaul Undong : Transferability and Limitations
Korea’s successful development model, which raised the country from the ashes of war to one of the top economic powers in the worl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as a miracle of our time. This has motivated many developing countries to learn from its experience. In response, Korea has been intensifying its oversea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emphasis on project-based
[학술논문] 북한산 산악철도 개발의 경제성 분석 연구
...약 2/3이상이 산악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악지역의 자연공원을 관광 자원화 하여 수혜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정책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여건을 감안하고 국토의 균형발전과 철도 인프라구축 정책원칙 우선 적용을 위한 일환으로 산악지역 중 가장 실효성과 경제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북한산에 대해 산악관광열차로서의 도입시 이용자 지불의사 수준에 관한 대안을 적용하여 산악철도에 대한 경제성 변화를 연구 하였다. 분석결과 LIM(선형유도모터) 과 랙&피니언 시스템의 편익비용비가 각각 0.73, 0.8로 나타났으며, 랙&피니언방식이 적용가능 한 대안으로, 향후 새로운 신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노선내 터널을 일부시공 한다면 선형유도모터방식도 가능한 대안으로 검토 되었다.
[학술논문] 동남아 체제전환국가에서의 공적개발원조(ODA)와 경제성장: 예비적(preliminary) 검토와 북한에의 시사점
본 논문은 동남아 체제전환국가에서의 공적개발원조(ODA)와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검토하여 북한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연구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그리고 라오스 모두 ODA 유입규모의 변화 추세와 GDP 성장률 추세간의 일정 부분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현재 북한의 해외재원조달은 국제사회의 제재 및 폐쇄적인 경제구조 하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감안해본다면, 북한이 본격적으로 개혁․개방을 추진할 경우 그 규모는 크게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재원의 성격도 긴급구호 혹은 인도적 지원 등이 아닌 경제분야에 대한 대규모 지원이 될 수 있다. 특히 북한의 경우 공적개발원조(ODA)를 지속적으로 공여 받아왔었기 때문에 관련 경험이 거의 없었던 기존 체제전환국과
[학술논문] 북한에서의 REDD+ 사업을 위한 산림황폐화 및 탄소저장량 평가
북한의 산림 황폐화는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 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황폐화 방지와 온실가스 감축을 목 표로 한 REDD+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북한 황해북도에서 10,000 ha를 대상지에 대해 다 중시기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의 산림 황 폐화는 계속 심해져, 1989년 7,035 ha로부터 2013년 4,293 ha로 약 39%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따라 산림 탄소축적량은 약 284,399 tCO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 준선을 설정하고 REDD+ 사업에 의한 산림탄소 감소방지 량 (온실가스배출감축량)을 분석한 결과 약 364,704 tCO2가 감소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조사 수행이 불가능한 한계점과 단위면적
[학위논문] Kedo : focused on the role and limitations as confidence-building measure on the Korean peninsul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