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차원 모델링을 활용한 북한 무산광산일대의 자원량 및 생산량 추정
남한은 철강의 수요나 생산에 비해 그 원료가 되는 철광석의 생산이 미약한 반면, 북한은 상당한 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자원량에 비해 생산량이 극히 미진하다. 또한 북한의 폐쇄성으로 인해 북한의 자원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고, 그 신뢰성에 의문이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철광산 중 세계적인 노천광산으로 알려진 무산광산을 대상으로, Landsat MSS, ASTER 위성영상자료와 수치지형도를 통해 1976~2007년 사이의 자원량과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원격탐사를 통해 산정한 무산광산의 넓이는 1976년을 기준으로 총 약 6.1 km2의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광산 내 채광지의 크기는 지도대수기법을 통해 4.9 km2로 산정되었다. 또한, 산정된 채광지 내 약 3.2억 m3의 체적을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하여...
[학술논문] Landsat 영상을 활용한 북한 주요도시의 도시화 지수 분석
본 연구는 Landsat 영상을 활용하여 북한 주요도시의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NDVI와 NDBI를 구하고 이를 차분화한 UI지수를 통한 공간성(LISA)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성과 평양 모두 도시화의 정도는 커졌으나, 공간적 성향은 서로 상반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핵심지역인 평양의 도시화 지수는 1994년부터 개성보다 더 빠른 추세로 진행되고 있었고 기존 도심에서 주변으로 점차 확장되어 도시 전반적으로 시가화 개발이 이뤄지고 있었다. 반면 개성의 경우 NDVI 수치의 변화폭이 많은 점 등으로 미뤄볼 때 기존의 산림과 같은 식생지역을 개발하여 시가지로 확장되는 패턴으로 하나의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UI와 LISA 분석만으로도 북한의 도시화 정도와 공간적 특성을...
[학술논문] 준감독 학습과 공간 유사성을 이용한 비접근 지역의 작물 분류 - 북한 대홍단 지역 사례 연구 -
...학습에 인접 화소의 공간 유사성 정보를 결합하는 분류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적은 수의 훈련 자료를 이용한 초기 분류 결과로부터 신뢰성 높은 훈련 자료의 추출을 위해 준감독 학습 기반의 반복 분류를 적용하였으며, 새롭게 훈련 자료 추출시 인접한화소의 분류 항목을 고려함으로써 불확실성이 낮은 훈련 자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북한 대홍단에서 수집된 다중시기 Landsat-8 OLI 영상을 이용한 밭작물 구분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제안된 분류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초기 분류 결과에서 나타난 작물과 산림의 오분류와 고립된 화소가 제안 분류 방법론에서 완화되었다. 또한 인접 화소의 분류 결과를 고려한 훈련 자료 추출을 통해 이러한 오분류 완화 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초기 분류 결과와...
[학술논문] InSAR 위성영상 분석과 다방향흐름 분석을 통한 북한 무산광산 오염영역 예측
북한의 광산은 시설 노후화와 방지 시설 부족으로 인해 광해 발생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최대의 철광산인 무산광산을 대상으로 오염물질의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동 경로와 확산패턴을 예측하였다. Landsat 영상의 시계열 분석 결과, 광산의 지속적인 개발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entinel-2 영상을 이용하여 광산 영역을 정량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Sentinel-1 영상을 이용한 InSAR 분석을 통해 태풍 발생 이후 오염물이 적치된 영역을 파악하였다. 오염물질의 이동경로와 확산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GIS 기반의 흐름방향분석 기법을 적용한 결과, 4개 방향으로 오염물이 확산되어 인근 하천과 광산 남쪽 저지대로 유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오염물의 확산과 하천...
[학술논문] 북한의 토지이용과 2030년대 생태계서비스 가치변화 특성 및 전망
...impacts of land change on ecosystem service values have never been examined in entire North Korea. Here, this paper presents the first-ever national ecosystem service values in North Korea using Landsat-based land cover classification between the 1980s and 2000s and business as usual scenario through the 2030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Vs per annum decreased from $7,477 million(KRW 8,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