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이 방안은 이상적 구호에 그치지 않고, 실현 가능한 틀 안에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와 공동 번영을 도모하고자 하는 진지한 제안입니다.
이제는 그 누구의 패배도 아닌 모두의 승리를 위한 통일을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지도자 여러분의 혜안으로, 평화와 통합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 주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p.12
남과 북의 경제 격차는 30:1이다. 남조선은 갑작스러운 흡수 통일을 바라지 않는다. 서서히 융합하는 과정을, 그러나 돌이킬 수 없는 통일의 과정을 합의해 나가라.
통일은 우리 민족 최대의 과업이다. 그러면 인민들도 안정할 것이다.
어느 누구도 할 수 없고, 오직 너만이 할 수 있다. 네가 만약 통일의 과업을 확실하게
[정치/군사]
...팀으로 구성되어 현재 뉴욕 민중법정을 준비하고 있다. 국제파트너단체로 국제반핵법률가협회(IALANA), 국제화해위원회(IFOR), 일본반핵법률가협회(JALANA), '죽음의 상인 전쟁범죄' 민중법정추진위원회(Merchant of Death War Crimes Tribunal), 평화재향군인회(Veterans For Peace), World BEYOND War, Peace Action 등 30개가 넘는 단체들이 함께하고 있다.
강우일 주교는 인사말에서 “오늘날 동북아는 국제정치적 갈등과 마찰로 무력충돌의 위기가 갈수록 증폭되고 있”다며 “동북아에 무력충돌이 발생한다면 지구 전체에 상상을 초월하는 재앙이 휘몰아칠 것”이라면서 “우리는...
[통일/남북관계]
...폴란드까지 이어지는 ‘유라시아 슈퍼 그리드 DMZ’ 구상을 직접적인 해결책이다.
각 장은 신냉전과 국익 우선주의를 넘어서는 관점에서 지구 보호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DMZ 드림’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평화, 지속가능성, 공동 번영의 비전을 펼쳐 보인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대한민국의 소프트 파워를 활용한 ‘K-peace’ 확산을 제안하며, 유라시아 전역에 걸친 DMZ 선언 지지를 독려하고 있다. 이 책은 단순한 이론서를 넘어 평화롭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적 지침서로, 독자들에게 글로벌 평화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정치/군사]
...구체적인 추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정책적 기여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히 기존의 평화체제 연구에서 많이 활용해온 소극적‧적극적 평화 개념 외에 국제정치학에서 전쟁부터 평화까지의 상태를 열전(hot war), 냉전(cold war), 차가운 평화(cold peace), 따듯한 평화(warm peace)로 구분해서 분석하는 틀과 질서의 개념을 통해, 한반도 평화질서(peace order)를 확보해 나가는 것이 진정한 평화 체제를 실현하는 방향임을 강조한다. 즉 실질적인 한반도 평화체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북핵-억제 메커니즘의 공고함과 비핵화의 진전을 통해 한반도의 안보질서를 확립하는 차가운 평화를 추구 하고, 이의 안정화 및 지속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따뜻한 평화의...
[통일/남북관계]
국립통일교육원에서 각급 교육기관 및 통일교육 현장에서 통일문제와 북한, 한반도 평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데 보탬이 되기를 바라는 취지에서 발행한 책이다.
도서 PDF 내려받기: 2021 한반도 평화 이해
[학술논문] 존폐위기의 개성공단: 현황과 전망
...being held hostage.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closure of the KIC costs a lot in terms of lost business opportunities and property, diminished chances of diplomatic engagement with the North, and betrayed hopes for peace. The only gain from the closure of the KIC is the lesson that the broken machine of cooperation should not be fed with oil but must be thoroughly replaced with a new engine.
[학술논문] China’s Dilemma on the Korean Peninsula
...peninsula: no matter how it strengthens or weakens its alliance with the North, it will inevitably hurt one of its friends. No matter how good China’s intentions are, its actions are questioned by the two Koreas. The way out of the dilemma is not to attempt to balance its respective bilateral relationships with the two Koreas, but to finish the Cold War and build a peace regime on the peninsula.
[학술논문] Building a Peaceful East Asian Community: Origins of a Regional Concept and Visions for a Global Age
While the thought of a regional community in East Asia comparable to the European Union is premature, I consider the transforming international relationships among North Korea, South Korea, China,Taiwan, and Japan and examin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such a community via sociocultural approaches. I trace the conceptual origins of East Asia and its historical place in international relations,investigate
[학술논문] China’s Anti-Access Strategy versus the US’s Air-Sea Battle Concep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n Security
...transition in East Asia has been evaluated to cause the US's strong responses to mobilize military and diplomatic countermeasures, namely 'Pivot to Asia.' In this context, to maintain peace and the status quo, regional countries should participate in the appropriate control of the "Shared Regional Hegemony" which means neither accepting too much of China's assertion nor...
[학술논문] 팔레스타인의 유엔 지위 격상으로 바라본 한국의 이-팔 정책 방향
...own advantage and does not show interest in compromise. The peace process lacks needed momentum. Even the United States has been showing waning enthusiasm for Israeli-Palestinian dialogue. Under this situation, Korea’s influence over the Middle East peace process is limited.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should seek a role in the peace process that corresponds to its international status by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