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언어적 차별화를 통한 언어 정체성의 구축’이란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본론에서 언어를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문화어 규범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과 그 제정 배경 및 이 규정과 조선시대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세종 이래 나타난 조선시대 ‘正音’ 의식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은 남한 발음과의
[학술논문] 황해도 안악 출신 북한이탈주민 발화의 음운론적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Hwanghae-do dialect. This includes the list of consonants;the place of articulation of /c/(ㅈ);and the t-palatation. This has long been the decisiv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Hwanghae-do dialect from the Pyeongan-do dialect. Because of this;Hwanghae-do dialect speakers could not easily acc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do dialect. On the other hand;since there h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