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위협 및 그 대응 방안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핵위협 및 그 대응 방안에 대한 우리 국민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북한 핵위협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북한 핵위협과 관련된 기사자료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Q 진술문을 작성하였고, 톰슨의 스키마타에 따라 37명의 P 샘플을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 핵위협에 대한 인식은 ①실용적 외교협력 중시형, ②적대적 군사안보 중시형, ③민족주의적 외교협력 중시형, ④냉전적 군사안보 중시형, ⑤낙관적 현상유지형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북한 핵위협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 인식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며, 북한 핵문제에 대한 대응 역시 통일에 대한 인식이나 해결책에 대한 선호에 기반하여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 핵위협을 풀어나가는데 있어...
[학술논문] 북한출판물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은 통일에 비하는 환경에서 북한출물에 한 수용자의 인식을 악하는데 있다. Q방법론에 따라 24개의 진술문으로 Q표본을 구성하고 20명의 P표본을 통해 북한 출물에 한 수용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의 유형을 발견하다. 제1유형은 ‘정치와 교육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이 당의 강력한 통제와 감독을 받으며, 북한의 사상과 교육 실태를 이해할 수 있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2유형은 ‘북한 이해의 도구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 출물은 북한 반을 이해하는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3유형은 ‘교류 와 력의 수단형’이다. 이 유형은 북한출물을 남북한 교류의 활성화에 필요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제4유 형은 ‘서지학...
[학술논문] 한국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주관적 인식 확장성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며 이를 기초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방도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인의 주관성을 연구하는 Q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359개의 진술문 중 29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북한이탈주민 28명을 P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에 대한 인식을 4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첫째 한반도 통일은 자유민주주의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김정은체제 청산이 통일의 선결조건이라는 통일지향형, 둘째 학업 등 배움을 통해 시장경제 원리를 터득하며 스스로가 뼈를 깎는 노력을...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인식 유형과 특성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이용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이 갖는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인식은 3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유형1은 ‘적극적 도움추구형’으로 상담과 상담자에 대해 매우 신뢰하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본인도 필요시 상담을 받으려고 하는 특징을 보였다. 유형2는 ‘소극적 우호형’으로 상담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타인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지지를 보였지만, 자신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해서는 깊게 인식하지 않고 있다는 특징을 보였다. 유형3은 ‘양가적 불신형’으로 상담에 대한 호기심은 있지만 자기 낙인, 사회적 낙인에 대한 두려움이 커 전문적 도움추구에...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향후 북한이탈주민 이미지 제고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32개의 Q 표본을 선정하여 18명에게 분류토록 한 결과 모두 세 가지의 북한이탈주민의 인식에 대한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 우호적 지지형, 제2유형은 부정적 고정관념형, 제3유형은 중립 추구형으로 구분되었다. 우호적 지지형은 북한이탈주민의 인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고, 부정적 고정관념형은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차별적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없어서 막연한 편견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립 추구형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편견에는 반대하지만 막연하게 그들에 대하여 동의하지는 않는 태도를 보였다. 이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