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무장지대>(1965) 연구 -냉전의 이미지와 반전(反戰)수사학-
...analyze how THE DMZ(Bimujang Jidae),directed by Sang-Ho Park, recalls and shows the tragic legacy left behind by the Korean war in the mid-1960s, and examines the independent filmmaking system the producer and film director choose, taking a compromising attitude with the official historical narratives by the state power. The film is concerned with the tragic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The story is...
[학술논문] 강화 평화 전망대 개발 콘텐츠 고찰
... surveyed major domestic peace and security observation posts located in the border area of the DMZ together with tourism experts and tourism students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sult – The tour of major domestic peace observatories suggested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from the existing focus on security and peace awareness, and derived a planning direction for expanding...
[학술논문] Influences of Human Reside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Malaria Incidence in Korea
The number of malaria cases has been undulating for the past 10 years in Korea since the reemergenceof malaria in early 1990’s. Considering the spatial variations of malaria incidence across the northmost borderarea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DMZ), the occurrence of the disease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natural andhuman environment in the region. Malaria is an infectious disease that...
[학술논문] 북한군의 군사적 도발 및 대응방향 - 목함 지뢰 도발에 이어진 비대칭전력 위협을 중심으로 -
우리가 북한을 보는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대적해야 할 주적이라는 점과 통일을 염두에 둔 교류협력의 대상이라는 시각이 존재하고 있다. 주적으로 북한은 1950년 6월 25일 불법 남침을 하였고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조인이후 지금까지 정전협정 위반과 불법도발을 계속하고 있다. 2015년 8월 4일 북한은 또다시 DMZ 목함 지뢰 도발에 이어 준전시 상태를 선포하면서 전면전 초기에 운용되는 전력을 시차별로 운영하였다. 그 과정에서 한미 군 당국은 북한군의 전력운용을 실시간 탐지하였고 그 결과가 언론을 통해 생중계 되었다. 이러한 군사적 도발을 보면서 북한의 군사적 위협 중 비대칭전력의 위협에 우리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학술논문] 북한의 제4세대전쟁 위협전망과 극복방안 연구: 향토예비군 운용 개선을 중심으로
...자가 강한 자를상대로 승리한 사례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제4세대전쟁 이론을 통해 논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북한은 열세한 국력임에도 한반도 무력통일 정책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그들은 국제사회와 남한을 상대로 다양한 정치•사회• 군사적 수준의 도발을 계속하고 있다. 최근에 북한은 5차례의 핵실험,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와, DMZ 도발 등을자행하였으며, 앞으로도 제4세대전쟁 차원의 도발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점증하고 있는 북한의 제4세대전쟁위협과 도발에 대한 본질을 이해해야 한다. 이를 통해 그들의 제4세대전쟁 위협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중 하나인 향토예비군제도에 대한 가치를 재인식하고 관련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 우리는 개선된 향토예비군제도를 통해 한반도에세력균형 변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