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DIS NDVI와 강수량 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벼 수량 추정 연구
식량수급을 이해하기 위한 농업 현황 정보가 부족한 북한을 대상으로 위성영상과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재현 가능한 벼 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2002년부터 2014년까지의 MODIS 위성 식생지수 평균 NDVI 최대값과 27개 관측지점의 9월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북한의 벼 수량 값을 추정하였다. 모형의 결정계수는 0.44, RMSE는 0.27 ton/ha로 다소 크게 나타났고, 분산분석결과 F비가 3.0983, 유의확률이 0.1008을 보였다. 벼논 지역의 MODIS 평균 NDVI 최대값과 등숙기의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북한의 벼 수량은 2007년이 2.71 ton/ha로 가장 낮게, 2006년이 3.54 ton/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통계 값과
[학술논문] 북한 벼 유전자원의 중부지역에서의 주요 농업 특성 비교
본 연구는 북한에서 개발된 벼 유전자원들을 중부지역에서 재배하여 주요 농업적 특성을 분석하여 북한지역 적응 벼 신품종개발 연구에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북한 벼 유전자원은 수원과 철원에서 7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분포하는 조생 및 준조생 자원이었다. 2. 북한 벼 유전자원들의 출수기는 두 지역 간에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며, 조생자원에서 철원이 수원보다 출수가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나, 준조생 자원은 반대로 철원에서 출수가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간장, 수장, 주당수수, 수당립수 및 등숙률은 두 지역 간에 고도의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며, 간장과 수장은 수원에서 철원보다 더 길었으며, 주당수수 및 수당립수는 수원이 많았고, 등숙률은 수원이 철원보다 높았다
[학술논문] 북한 4·5차 핵실험의 기술적 평가
...and various technical assessments have shown that boosted fission weapons are most likely to be used. Also, using the empirical formula considering the burial depth of explosion, we found that the yield of the 4th and 5th nuclear tests is at least twice as strong as that is expected it could be and the initial design power could reach 8kt before amplification. This means that North Korea has already...
[학위논문] 탈북여성의 가정폭력 경험과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matter of trauma, overwhelming the ability of adaptation to human life North Korean women refugees were driven to violence from their childhood, and they were raised by learning how to completely yield to the fear that they were going to die, to the horrifying terror of midair disintegration into pieces, and the feeling of helplessness Even though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various social...
[학위논문] 통일운동 NGO의 변천과 다층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times and different fields. It goes through processes where it sometimes achieves its intended purposes and sometimes fails. More than any other task,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can yield results only through effective coopera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tors. In this regard, the governance betwe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Unification NG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