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ODIS 다중시기 영상을 이용한 북한 다락밭 분류
...indexes, and marginal farmland characteristics with slope variable. The accuracy value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which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ation and analyzed value, was 84.9% and Kappa value was 0.82. The highest accuracy value was from agricultural (paddy, field) and forest area. Terrace fields were easily identified using slope data form agricultural field. Use of NDVI, NDSI, and...
[학술논문] 북한 벼 유전자원의 중부지역에서의 주요 농업 특성 비교
본 연구는 북한에서 개발된 벼 유전자원들을 중부지역에서 재배하여 주요 농업적 특성을 분석하여 북한지역 적응 벼 신품종개발 연구에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활용하고자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북한 벼 유전자원은 수원과 철원에서 7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분포하는 조생 및 준조생 자원이었다. 2. 북한 벼 유전자원들의 출수기는 두 지역 간에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며, 조생자원에서 철원이 수원보다 출수가 빨라지는 경향이었으나, 준조생 자원은 반대로 철원에서 출수가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간장, 수장, 주당수수, 수당립수 및 등숙률은 두 지역 간에 고도의 유의한 차가 인정되었으며, 간장과 수장은 수원에서 철원보다 더 길었으며, 주당수수 및 수당립수는 수원이 많았고, 등숙률은 수원이 철원보다 높았다
[학위논문] 경제위기 이후 북한 농업부문의 계획과 시장
...limited contribution of the cashbased plan in the agricultural sector, extra income activities and growing income inequality in cooperative members, and locationinduced change of agricultural cooperatives into suburbian, borderfacing and resourceabundant typologies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marketization in North Korea’s agricultural sector are as follows
First, DPRK’s...
[학위논문]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course” of North Korea’s Three-Year Plan(1954~56) for the post-war reconstruction of in September 1953. In April 1955, it engaged in making North Korea’s First Five-Year Plan(1957~61) and agricultural policy.
The continued intervention of the CPSU in economic policy and political lines provided Kim Il Sung with the direct motivation to implement de-Sovietization in North Korea. Since 1955...
[학위논문] 전후 북한의 사회주의 이행과 '자력갱생' 경제의 형성
...course” of North Korea’s Three-Year Plan(1954~56) for the post-war reconstruction of in September 1953. In April 1955, it engaged in making North Korea’s First Five-Year Plan(1957~61) and agricultural policy.
The continued intervention of the CPSU in economic policy and political lines provided Kim Il Sung with the direct motivation to implement de-Sovietization in North Korea. Since 1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