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N Sanctions as an Instrument of Coercive Diplomacy against North Korea
...gap between the desired outcome and reality. Hence, this study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tional sanctions on North Koreaand conditions that help coercive measures work successfully. It explores howcoercive diplomacy operates and how well it works, how UNSC resolutions havedeveloped and how compliant UN member states are with those resolutions basedon an examination of country reports...
[학위논문] 미국의 대북한 위기관리 행태 연구
...responsiveness of the United States by screening and collecting among George’s political and operational requirements in the in the controlled aspect of a crisis, and coercive diplomacy requirements presented by key scholars in coercive bargaining aspects.
The United States’ response to the nuclear experiment crisis as a North Korean crisis were seen as straddling...
[학술논문] 본 연구는 북한 아동인권개선을 위한 유엔의 관여와 북한 김정은 정권의 대응을, 유엔 아동권리협약에 제시된 아동의 특정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평가한다. 유엔은 북한 아동의 보편적 인권 실현자체를 목적으로, 북한 정권에 대한 ‘압박형 설득’과 북한 아동들에 대한 ‘인도적지원’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관여하였다.
북한외교에서 군사력은 핵심적인 실행수단이다. 북한은 지난 70년간 미국을 상대로 군사력 사용을 위협하여 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대북공격 억지부터 북미관계 개선까지 외교목표를 진전시키는 강압외교(coercive diplomacy)를 추진해 왔다. 이 글은 김정은이 후계자로 지목된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추진한 외교를 셸링의 강압외교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핵무력이 강화되는 데 따라 김정은의 외교전략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김정은은 2009년 북미관계(외교)와 분리하여핵억제력(군사)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하고 2017년 ‘국가핵무력 완성’까지핵무장에 전념해 오다가, 2018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하며한, 미, 중과 정상외교에 나서는 극적...
[학술논문] 북한 군사적 강압외교(Coercive Diplomacy)의 수정주의(Revisionism)적 기원
본 논문은 3대 세습에도 불구하고 정권 수립 이후 일관되게 견지되고 있는 북한의 수정주의 (revisionism)적 국가정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북한 대외정책의 트레이드마크(trademark) 가 된 모험적 군사도발과 강압외교 전략의 기원을 규명한다. 정권 수립 이래 북한은 전후 동북아질서에 도전하며 북한주도 한반도 통일이라는 수정주의 목표를 추구해왔다. 현상 국제질서의 정당성을 근간에서 부정하면서 물리적 힘의 배분상태변화, 특히 군사적 세력균형의 변경을 기해왔다는 점에서, 북한은 혁명적(revolutionary) 수정주의 국가로 분류될 수 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 등 수정주의 대륙강대국들의 도전에 편승하여 모험주의·기회주의적 팽창정책을 통해 역내 국제질서의 변경을 기도하는 ‘자칼(jackal)
[학위논문] 김정은 시대 북한의 ‘핵 강압외교’에 관한 연구
...strengthening of nuclear coercive diplomacy during the Kim Jong-un period, this paper analyzed the causes by applying coercive diplomacy theory and the second image reversed theory by 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nuclear coercive diplomacy by period into diplomatic form, internal dynamics, and nuclear policy goal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nuclear coercive diplomacy was strengthened by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