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주화를 위한 ICT(ICT4D)와 북한: 이론적 함의와 비교적 시각에서의 전망
민주화 시위에 ICT가 적극 활용되면서 민주화를 위한 ICT, 즉 ‘ICT4D’(ICT for democratization)가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이 글은 최근 외부 정보, 특히 다양한 ‘한류’ 콘텐츠들이 북한으로 유입되는 현상에 주목하면서 ICT4D의 맥락에서 ICT가 북한에 미칠 영향을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글은 우선 외부정보 유입, 북한 민주화, 북한 ICT 등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아울러 인터넷과 휴대전화 부문을 중심으로 북한의 ICT 현황을 일별했다. 또한 해외에서 수행된 ICT4D에 관한 연구 동향과 주요 국가의 관련 사례들을 정리, 검토하면서 북한에서 ICT4D의 방향을 전망할 수 있는 이론적․경험적 논거를 구축했다. 마지막으로...
[학술논문] Recent Discussions on the Constitutional Law Amendment of South Korea
...is changing into a multi-ethnic and multi-cultural society. Domestically, while undergoing rapid growths by civic organizations and vigorous activities of labor groups, a dynamic progress of democratization have occurred. In terms of the South-North Korean relation, the degrees of relaxed tensions that would have been unimaginable in the past were achieved, and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have...
[학술논문] 북한의 급변사태 시나리오 2 : 재스민혁명 국가들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남유럽에서 시작된 민주화라는 물결은 남아메리카와 아시아로 확산되었고, 구소련과 동유럽을 붕괴시켰으며, 북아프리카와 중동지역 국가들에 재스민혁명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다수의 학자들은 재스민혁명이 북한에도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조심스러운 전망을 하면서, 북한 급변사태와 관련된 연구들을 활발히 하여왔다. 이러한 연구의주제들은 급변사태의 발생원인과 시기, 그리고 주도세력 등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그 전개과정이 어떻게 될 것인가와 체제변화가 있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스민혁명 국가들의 체제변화를 분석한 결과에근거하여, 북한 급변사태 이후에 전개 가능한 시나리오를 Ⅰ유형 비교적 평화롭게 정권이 교체될 가능성, Ⅱ유형 분단된국가에서 통일된 이후에 다시 내전이 발생할 가능성
[학위논문] "목차 ⅰ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ⅴ 논문개요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방법 5 제2장 행정통합전략과 분석의 틀 7 제1절 행정통합전략 7 1. 행정통합이론 7 2. 남북한 통일환경과 수요 26 3
...the education from anti-communism to security was greatly affected by the dismantlement of the international Cold War structure. Secondly, internal factor of domestic democratization also played a pivotal role given that democratization made it possible for civic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government's decision making process. Thirdly, it is of note that inter-Korean relations did not play...
[학위논문] 북한의 문예정책과 구비문학의 활용 양상 연구
...Saeyasaeya, and Arirang were sung during the movement of democratization.
The birth-myth or North Korean traditional folk art was based on the national interest and tool, while folk dramas, mask dances and folk songs were used as methods to democratize the country. But all these traditional arts are focused on an ideology.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may adopt traditional folk art with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