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which facilitated their cultural adaptation. They also expressed a strong commitment to forming positive parenting beliefs for their children's healthy development.Conclusion: By focusing on early childhood, this study offers meaningful insights into how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stablish a foundation for parenting. The findings show how they support their families’ successful adaptation...
[학술논문] 통일대비 북한의 영유아 교육보육 시스템 분석
본 연구는 통일에 대비하여 1995년 이후의 북한 영유아 교육보육 시스템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1995년 이후 지속되는 경제난과 식량난에도 불구하고 2000년에 접어들면서 4만여개의 유치원과 탁아소에 총 200만명의 영유아들이 취원하고 있었다. 유치원과 탁아소모두 <백두산 3대장군 어린시절 이야기>이라는 정치사상교육을 실시하고 유치원에서는 학교준비 교육을 위해 지적 교육을, 탁아소에서는 영양 및 건강관리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부터 유치원에서는 놀이중심 통합교육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탁아소에서도놀이를 통한 지능보육을 강조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자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직교사보상제도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논문] 북한의 보육 정책 및 현황
...discrepancies between ideology and actual situation were revealed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from the 1990s. Because people’s survival and physical health have been threatened, it is barely possible to find any stud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institutional child care from early childhood and the instillation of unique ideology by group education from the preschool period on mental health.
[학위논문] 북한 주체사상의 사회·문화적 기능
...'Juche' thought does not have any universal value for human beings. The thought is the simple outcome of idolization for Kim's family and has widely and determinately influenced on the socio-cultural life of people. It is, therefore, a necessary result that all aspects of people's lives are under watch and regulation from even childhood, so a lot of people are giving up their own country.
[학위논문] 통일교육 연구동향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30여년간 진행되어온 통일교육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자 통일교육 관련 학술지의 제목 및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일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정제 과정을 통해 명사형 텍스트로 전환해서 분석하여 계량적인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통일교육 연구 동향의 다양한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텍스트 분석을 위해서 논문 검색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수집된 학술 논문을 각 시기별 통일교육의 특징에 따라 구분하였다. 제목분석에서는 수집가능한 논문 텍스트의 연도별 시기에 따라서 1988년 논문부터 수집하여 통일안보교육기, 통일교육기 전기, 통일교육기 후기, 통일교육 전환기로 명명하고 4시기로 구분하였다. 초록분석에서는 2000년 논문부터 수집하여 통일교육기 전기, 통일교육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