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sexual func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was 18.94(SD:5.88). Sexual functioningfor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as relatively low, 18.94 in comparison to Rosen’s cutoff scores of 26.6.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the sexual fun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ly, high educational level, stable residential situation, non rape, and conservativesexual attitudes. Conclusions: The...
[학술논문]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Role in a Needed New Strategy toward North Korea
...contends that a new strategy is needed to replace denuclearization. South Korea must take the leading role in developing new issues in its diplomacy toward Pyongyang. President Park could propose multiple negotiations over at least six South-North issues that could yield outcomes favorable to South Korea. The paper also suggests ways for the Park Government to coordinate with the United States over...
[학술논문] 분단의 사회-기술적 네트워크와 수행적 분단
...갖는(being) 분단이 아닌 행해지고(doing) 있는 분단으로서 ‘수행적 분단론(performative division)’을 새롭게 개진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행적 분단론은 분단이 단순히 진행형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분단이 이질적인 사회-기술적 행위자들의 결합을 통해 끊임없이 행해지는 ‘다중적 실재들(multiple realities)’이란 것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이 논의를 위해, 우선 분단 인식의 프레임과 다이어그램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분단에 대한 인식과 한반도의 문제화가 주로 ‘안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사회-기술적 과정의 산물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둘째, 북한의 핵무기를 북한의 비정상성으로 설명하고 소비하는...
[학술논문] Future Warfare Dynamics and Response Strategies on the Korean Peninsula: Insights from the Russia–Ukraine War
...and conventional military threats, the variable alliance policies of the new U.S. administration, and changes in the nature of future warfare following the Ukraine war, the ROK military now faces multiple crises, making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response strategies an urgent task.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the main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Russia Ukraine war—which has moved...
[학술논문] 실전적 다연장포 이미지 객체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증강기법 연구
본 연구에서는 다연장포의 실전적 이미지에 대한 객체인식 성능 향상을 위해 날씨변환 증강 기법을 제안한다. 다연장포는 현대전의 주요한 화력지원체계이며 특히 북한은 5500여문의 다양한 구경과 모델의 다연장포를 운용하고 있기에 우리나라에 큰 위협이 된다. 따라서 장비의 정확한 식별이 필수적이나, 활용 가능한 이미지는 주로 실전 환경과 거리가 먼 공개정보에 한정되어 있다. 반면, 실전에서는 사격 후폭풍, 연기, 악천후 등이 혼재된 환경에서 인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날씨변환 증강 기법을 활용하여 공개정보 이미지를 바탕으로 실전적 학습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모델을 학습시켰다. 데이터셋의 규모를 늘려가며 YOLOv8n 모델의 성능을 mAP@50:95 지표로 비교 분석한 결과 날씨변환 증강을 했을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