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 결정에 대한 연구
...체계를 만들었다. 그리고 국가안보회의와 관련 기관에 주한미군 철수에 대해 검토하라고 지시하였다. 철수결정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이 논문은 카터행정부의 주한미군철수와 관련하여 추진했던 대통령 검토각서 10호와 대통령검토각서 13호를 추적하였다. 카터 행정부는 정책검토위원회(Policy Review Committee: PRC)와 국가안보회의(National Security Council: NSC) 통해 주한미군 철수방안을 논의하였으며, 대통령지시 12호를 통해 공표되었다.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 철수정책은 한국과의 한미안보연례회의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북한의 군사력 등 한국의 안보를 고려하기 보다 미행정부의 정치적 입장을 고려한 일방적인 결정이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미행정부의 정책결정구조와 과정에...
[학술논문] 전투사례로 본 군사보안의 중요성 연구 - 6.25 전쟁 초기, 개성일대 전투를 중심으로 -
“역사는 거울”이라는 말은 반복되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우리는 적을 대비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 우리는 북한의핵과 미사일을 포함하는 각종 도발에 직면해 있다. 우리가 북한을 주적으로 설정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전하기위해서는 우리 군은 적의 위협에 항상 철저히 준비되어야 한다. 6.25 전쟁 전투사례를 보면 준비된 적과 무방비 상태의국군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요약할 수 있다. 북한군은 해방 이후 치밀한 계획 하에 중공군을 편입시키고 소련군 군사고문단 지원 하에 전투 장비를 배치하여 군단 급 훈련까지 마친 상태에 비해, 당시 국군은 대대급 훈련도 마무리 못한 상태였다. 전·평시 군사보안을 위해 나의 정보는 숨기고 적은 찾아서 대비해야 한다. 북한군은 전쟁을 준비하면서 치밀하게
[학술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안보의 현황과 전쟁억지력
...및 국제기구 등과 양자·다자 간 사이버 분야에서의 협력확대 및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이외에도 사이버 공격의 주체·의도 등에 대한 국민의 의혹을 해소하고 공신력도 확보해야 한다. 미국은 오래전부터 사이버 안보가 국가안보와 경제분야의 국가적 당면과제 중 가장 중요한 이슈라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과 관련하여 사이버 안보에 대한 위협을 국가안보와 공공안전, 그리고 경제발전에 대한 가장 심각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국은 개별 안보분야에 대한 세부전략을 수립했다. 즉, 미국은 9.11테러 이후 사이버안보 범죄를 제재하기 위하여 애국법(Patriot Act), 정보개혁테러예방법(Information...
[학술논문] 북한의 사이버공격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case studies of cyber-attack incidents by foreign nations that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e response measures at a national level can be deduced and applied as in this study. Thus, the authors of this study hope that the newly proposed elements here within will help to strengthen the level of Korea’s cyber security against foreign attacks, specifically that of North Korea such as the KHNP...
[학위논문] 韓半島 平和體制에 관한 硏究 - 多次元的 接近과 段階別 推進方向을 中心으로 -
...Korean peninsula and settlement of peace. Also, to embody the driving-strategy that settles the steady and determined aggressive peace condition in Korean peninsula within a long-termed national defense security angle, and to present a fundamental and collective answer on peaceful resolution for North Korean nuclear program and an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in Korean peninsul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