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레스덴 구상의 실천적 이행방안으로써 남북한 스포츠교류협력을 통한 민족동질성 회복방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nter-Korean sports exchange as a viable and practical fulfillment plan to restore national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based on the Dresden conceptual model. Suggestions outl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ep-wise approach to strengthen and maintain inter-Korean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Trust-restoration” step, &ldquo
[학술논문] How Authoritarian Regimes Maintain Domain Consensus: North Korea's Information Strategies in the Kim Jong-un Era
The North Korean government of Kim Jong-un is experiencing multiple simultaneous challenges to its legitimacy, but few could be more serious than the inflow and circulation of information in society. This paper uses three case studies to specifically examine how the North Korean state is responding to this danger by actively projecting narratives of transformation: “re-defectors,” sports
[학술논문] 남북통일축구대회의 성사배경과 협의과정
본 연구에서는 남북통일축구대회의 성사배경과 협의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체육부는 노태우 대통령의 ‘7.7선언’ 정신에 입각하여 북한과의 체육교류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 아래 남북체육교류협력 방안을 마련하였다. 체육부는 남북체육교류협력의 일환으로 남북친선교류경기를 북한에 제의하였고, 북한이 이를 받아들임으로써 남북통일축구대회에 관한 협의가 시작하였다. 남북통일축구대회의 협의는 북경에서 개최된 남북체육장관회담에서 본격화되었는데, 체육부는 본질적 사항이 아닌 세부절차 등에 관해서는 양보를 해서라도 대회를 성사시킨다는 방침을 수립하였다. 북경 남북체육장관회담을 통하여 남북체육회담 개최에 동의한 남북 양측은 북경아시아경기대회 기간 중 비밀리에 대회개최를 협의하여 1990년 10월 11일 평양에서
[학술논문] 제35회 평양 세계탁구선수권대회(1979) 남북단일팀 구성을 위한 체육회담
북한의 평양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유치는 1977년 3월 28일 영국 버밍엄에서 확정되었고, 국제탁구연맹은 북한이 한국, 미국, 이스라엘의 대회 참가를 보장함으로써 평양대회 유치를 인정하였다. 북한은 대회 개최 두 달 전인 1979년2월 20일 남북 단일팀 구성을 제의하였고, 이러한 제의를 한국은 받아들였다. 당시 한국 정부는 북한의 회담 제의에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나, 한국 선수단의 대회 참가에 대한 북한의 의도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서는 박정희 대통령의 ‘1.19 대북 제의’정신을 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북한의 제의에 응하였다. 회담에 임하는 한국 측의 기본 전략은 ‘단일팀 구성 합의 반대’와 한국선수단의 ‘단독 참가’였으며, 북한 측의
[학술논문] 「이명박 정부」 대북정책과 남북체육교류협력 평가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e Administration’s policy on North Korea, and inter-Korean sports exchange and cooperation. This literature review involved systematic analysis of relevant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The result of this review is as follows: First, strict reciprocity principle has imposed limitation on promotion of policies favorable for an inter-Korean 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