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대표적 아연광산인 검덕광산을 남북이 협력 개발할 때 인프라 구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산사태 위험도를 파악하였다. 북한의 지역적인 특성상 현장조사가 어렵기 때문에 위성영상과 GIS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판독하여 검덕광산 인근에서 산사태가 발생했던 지역을 파악하였고 이를 인벤토리 맵으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인벤토리 맵과 경사도, 경사방향, 곡률, 수계거리, 고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산사태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빈도비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각각 사용하여 산사태 위험지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산사태 위험도가 상위 5% 인 지점에서 실제로 산사태가 일어났을 경우 토사가 어디로 흘러가고 이에 따라 광산 주변 주거시설, 거주시설, 도로, 철도 등의 인프라가 어떤 영향을 받을지도 다중 누적흐름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제작된 산사태 위험지도와 인벤토리 맵을 분석한 결과 빈도비 방법은 약 75%,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약 73%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향후 북한과의 자원개발 협력 시에 투자와 인프라 구축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ndslide hazard at the Gumdeok zinc min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there i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ooperate for the extraction of mineral resources. Because field survey around the mine is impossible, the landslide risk was analyzed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data. First, the landslide occurrence area was identified from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a landslide inventory map was produced. Next, the slope, aspect, curvature, distance from water, and elevation were used as input data in the frequency ratio method an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produce landslide hazard maps.
Finally, areas around the mining infrastructure where landslides can be expected were identified by applying the multiple flow accumulation analysis. The overall accuracy of predicting landslide risk was 75% with the frequency ratio method and 73% with the logistic regress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case of the cooper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in mineral resource development.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