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백두산 화산 폭발에 따른 초국경환경피해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International Legal Studies on Transboundary Environmental Harms Deriving from volcanic eruption of Mountain Baekdu

상세내역
저자 송병진
소속 및 직함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법학연구소
학술지 아주법학
권호사항 15(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26-349
발행 시기 2021년
키워드 #백두산 화산폭발   #화산재   #초국경환경피해   #지역환경 협약   #국가책임   #송병진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반도와 주변국가는 백두산의 지속적인 폭발 전조현상 및 주변국 화산의 계속적인 분화로 화산폭발에 대하여 안전한 지역이라고 할수 없으며, 화산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도 용암, 라하르 등과 같은 직접적인 피해는 아니지만 화산재 확산으로 인한 직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화산재 확산으로 인한 피해는 항공 분야, 대기, 보건 분야, 농축산물 분야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발생할 수 있다. 그동안의 북한의 핵실험과 지진 등에 따른 지반의 불안정성과 그에 따른 백두산 화산폭발이 현실화 될 경우 초국경환경피해는 한국뿐만 아니라 주변 인접국들에게 중대한 영향을 줄 것이다. 백두산 화산 폭발에 따른 피해를 막을 수는 없지만 선제적인 조치 여부에 따라 피해를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북한을 포함한 주변국들과의 정보 공유를 비롯한 지역적 협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백두산 화산 폭발로 인한 초국경환경피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그에 따른 국가책임 문제와는 별개로 동북아 지역 국가 간의 양자, 다자간 환경협약의 체결과 더 나아가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긴밀한 공조가 필요하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