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최근 1년 동안 서해5도지역에서 수거한 북한 생활쓰레기 포장지를 통해 북한 상품의 브랜드, 상표, 색상, 디자인, 생산공장 등의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았. 북한 상품의 특징과 의미 중에서 디자인과 관련한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상품별 고유한 상표와 도안이다. 둘째, 직관적 형태의 ‘우리식’ 캐릭터의 활용이다. 셋째, 사상과 정서를 담은 고유한 글씨체의 활용이다. 넷째, 제품별 포장 재질의 변화가 눈에 띈다. 김정은 집권 이후인 2012년부터 북한 제품 포장지의 재질이 뚜렷이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그중에서도 질감과 장식 등의 요소들을 적용하면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상품으로는 사탕, 과자류 포장지였다. 북한 상품 포장지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북한 상품의 기본적인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경제난으로 인해 자급자족과 자력갱생을 외치는 북한에서 이처럼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업미술과 광고 등을 인식해 상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것도 주요한 특징이다. 향후 북한 상품의 다양한 입수 경로를 통해 북한 상품을 축적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북한 사회상을 파악함은 물론 향후 남북한 통합과정에서 북한경제와 산업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