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반공 서사와 기독교적 주체성-황순원의 『카인의 후예』(1954)의 경우

Anti-communism narrative and Christian subjectivity

상세내역
저자 이철호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발행기관 상허학회
학술지 상허학보
권호사항 5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447-474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황순원   #『카인의 후예』   #정결성의 신화   #반공서사   #기독교적 주체성   #이철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카인의 후예』는 해방기 북한사회의 급격한 변화를 다룬 소설이다. 이 소설에 의하면 지주, 마름, 소작인의 사회적 위계가 전복되는 가운데 전통사회의 미덕들이 사라져가는 상황은 정치적, 이념적 선택의 불가피한 결과라기보다 인간성의 근본문제와 직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주인공 박훈이 마침내 월남을 결행하기까지 겪는 일련의 사건들은 곧 인간성의 타락으로 요약된다. 그런데 휴머니즘과 반공주의 중심의 기존 독법이 서로 대립하면서도 실제 텍스트 분석과 관련해서는 모두 동의하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오작녀라는 인물의 상징적 의미를 모성성으로 수렴하여 해석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신화적 독법으로는 충분히 독해되지 않는 지점들이 있기에 문제적이다. ‘큰 눈’의 오작녀는 그러한 사회의 폭력과 광기, 타락을 모조리 지켜보는 존재이다. 이 공동체에서 박훈이 감내하고 있는 일체의 부도덕하고 부조리한 상황, 즉 박해의 모든 순간을 증언하는 눈이 바로 오작녀의 눈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박훈에게 있어 그녀는 모든 박해의 증언자이자 자신의 도덕적 정결성을 입증해 줄 유일한 생존자이다. 바로 그 눈을 매개로 박훈은 자신의 기독교적 주체성을 재정립할 수 있게 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