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학계에서는 북한 국어교육 및 통일 국어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선행연구를 검토하면 북한의 국어 교육강령 및 교과서 등 공식적 문서에기반하여 북한 국어교육을 탐색하였다. 이는 북한 국어교육에 대한 체계적 탐구가 가능하나 실제 국어교육이 어떻게 실현되는가를 파악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탈북 국어교사들이 북한 국어교육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질적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북한 국어수업은 정치사상교양을 최우선으로 전개된다. 국어교사는 ‘김일성 교시’나 ‘김정일 말씀’을 인용하고 수업 역시 사상교양에 초점화한다. 문학 독해 위주의 국어수업이 진행되며 일반화된 수업 양상이 존재한다. 낭독을 중시하고 작품을원문통달하는 교수방식이 행해진다. 국어교사는 지식 전달자 역할에 충실한다. 학생들의 의견은 제한된 범위에서 허용되었으나 종국적으로 국어교사의 판단에 예속된다. 국어교사들이 수업을 준비하거나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증진하는 과정에서 집단주의 문화가 존재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