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홍수 취약성 분석은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시도되었다. 그러나 홍수 발생 위치로 알려진 곳에 한해서만 연구가 이루어지거나 북한 전역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도 시・군・구 단위에서 분석이 수행되어 공간단 위 임의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전역에 대하여 미시적 단위의 공간자료를 구축하 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홍수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평양직할시 금대리, 미정리 등과 함경도 풍성리, 신덕리 등이 홍수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해석보다 홍수 피해 규모와 더 가까운 규모로 지역을 특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통일 대비 북한의 홍수 피해 대응을 위한 선제적인 연구로서 그 가치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미시적 단위 공간자료의 활용은 향후 북한 연구에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Analyses of flood susceptibility in North Korea have been attempted in various ways. However,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ly in areas known to be prone to flooding, or even if these are analyzed for the whole of North Korea, the analyses are performed at the level of si-gun-gu, which are likely to caus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micro-level spatial data was built for the entire North Korea, and flood suscepti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areas such as Geumdae-ri and Mijeong-ri in Pyongyang Municipality, and Pungseong-ri and Sindeok-ri in Hamgyeong Province were identified as susceptible to flooding, which means that the identified regions are closer in scale to the actual flood damage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is valuable as preemptive research for North Korea's flood damage response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and the utilization of micro-level spatial data construct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enable various interpretations in future North Korea research.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