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기후통계자료 기반 국내 장대레일 설계기준의 북한지역 적용성에 대한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of Korean specifications for CWR Design to North Korea Regions Based on Climatic Statistics Data

상세내역
저자 최찬용, 이형덕, 임남형, 문지호
소속 및 직함 강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철도학회
학술지 한국철도학회논문집
권호사항 23(1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067-1076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대기온도   #레일온도   #기후통계자료   #궤도 좌굴   #파단   #최찬용   #이형덕   #임남형   #문지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남북한 철도연결에 대한 관심 증가와 함께 북한철도 인프라의 개량 및 현대화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남북한 철도의 물리적 연결 이후 북한철도의 현대화 시 열차의 속도향상을 위하여는 장대레일 설치가 필수적 이다. 장대레일 축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하나는 대기온도로 대기온도 상승 및 하강 시에는 레일 온도의 상승및 하강으로 인하여 각각 궤도 좌굴 및 레일의 파단이 발생 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레일의 온도범위를 -20 o C~60 o C로관리를 하고 있으며 중위온도는 20 o C이다. 이러한 장대레일의 온도 기준은 다년간 국내에 적용이 되어 국내 대기온도및 레일 유지관리 시스템 안에서 안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북한지역의 경우 국내와 대기온도가 크게 달라지는 곳들이 존재함으로 국내 장대레일 온도기준의 적용성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의 30 년간의 기후자료 분석을 통하여 국내기준의 적용 가능한 대기온도 범위를 설정하고 북한의 대기온도와 비교하여 국내 장대레일에 대한 온도기준의 북한지역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