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한(南北韓)의 거울에 비친 실학(實學)과 다산(茶山)

Practical Learning' and 'Dasan Jeong Yak-Yong' reflected in the mirror of South and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김선희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학술지 시대와 철학
권호사항 31(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44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다산 정약용   #북한철학   #서학   #실학   #조선철학   #최익한   #김선희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30년대 조선학 운동에서 부상한 ‘실학’이라는 개념은 이후 한국학계에서 확정된 정의와 용례를 가진 사전적 개념이 아니라 복잡하고 다양한 기대와 원망(願望)이 투영된 중층적 현상을 구성해왔다. 이는 남한보다먼저 관련 연구에 집중했던 북한도 마찬가지다. 이 연구는 일제 강점기와해방 직후 남북한 학계가 각자의 목적과 지향에 따라 형성되었던 ‘실학’과‘다산’ 독해에 담긴 모종의 문법을 재검토해보려는 시도이다. 우리는 특정시기 역사적;사상적 조건에서 실학과 다산에 부여되었던 초과적 원망과 기대들을 해소했는가? 조선학 운동 시대 사상의 준거이자 지향이었던 국가를회복하고 지적 주체의 위상을 회복했던 남북한 학계는 조선학 운동이 남긴부채를 해결했는가? 이 논문은 이런 질문을 배후에 두고 해방 이후 남북학계가 전 시대의 기획이자 유산이었던 실학과 다산을 어떻게 맥락화시켰는지 그 궤적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