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ANT로 본 북한 핵·동맹 네트워크: 김정일·김정은 정권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International Exchanges in North Korean Films (1945-1972): Centered on the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상세내역
저자 정호근
소속 및 직함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발행기관 아세아문제연구원
학술지 아세아연구
권호사항 63(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7-69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ANT   #번역   #핵·동맹   #네트워크   #아상블라주   #OPP.   #정호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00년대 사회이론의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ANT(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로 바라본 북핵은 우선;ANT의 비인간 행위자;동맹;번역 등을 원용하여 북핵이라는 물질성은 국지적 시스템의 절대적 위상으로 북한 체제를 ‘핵-수령-당-국가’로 치환하였다. 둘째;북핵은세계의 비핵화를 표준화로 재영역화하는 위험한 시도로 한반도 정세의 불가측성을 한층 높이고 있다. 셋째;인간이 창조하는 사물은 인간 중심의 종속적 존재의 굴레에서 벗어나 인간 행위를 구속하는 순환적이고 상호 포섭하는 행위자의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ANT는 북핵의 위험성과 불안정성을 설명한다. 이처럼 북핵에 대한 ANT의 적용은 지금까지 방법론적 정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이론적 대안이라 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