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나타난 새로운 ‘국가-자연’의 생산에 주목한다. 그동안 남북한은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자국 국민들의 내적 통합성을 유지하고, 상대국가에 대한 배타성을 드러내었다. 기존 문화지리학과 정치생태학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사회세력들은 근대국가의 영역적 통합성을 유지하려는 수단으로서 민족주의가 투영된 국가-자연을 물질적, 담론적으로 생산해왔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국가 스케일과 지역 스케일 간의 경합 과정에 초점을 두면서 국가의 상위 스케일에서 국가-자연이 구성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남북한의 경우, 새로운 국가-자연의 생산은 상대국가와의 대립관계를 유지시켰던 국가 내부의 배타적 영역성을 감소시키고, 점진적 교류로부터 시작하여 궁극적으로 두 국가 간 정치경제적 통합성을 높이면서 통일의 첫걸음을 탐색할 발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roduction of new state-natures in 2008 North-South Korean leaders’ summits. By using nationalism, North and South Korea have been tried to maintain each inner integrity while holding exclusive stance towards the opponent. As revealed in the previous studies from cultural geography and political ecology, state-natures reflected in nationalism are materially and discursively produced by social forces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territorial integrity of the modern state.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is less paying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that state-natures could be produced at supranational scales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scal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production of new state-nature may abate exclusive territoriality and promote politico-economic integrity between two states, which may lead to changes from gradual inter-Korean exchanges to reunification.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