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남북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 양상‒남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와 북한 소학교 1학년 교과서 활동 분석을 중심으로

Group Communication Aspect brought out in the Korean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Focusing on the activity analysis of first grade Korean textbooks of South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first grade textbooks of North Korean elementary schools

상세내역
저자 김윤정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학술지 문화와융합
권호사항 42(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843-873
발행 시기 2020년
키워드 #비고츠키 공간모형   #통일 이후 국어교육   #남북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남북 국어 교과서   #집단 커뮤니케이션   #김윤정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연구는 집단 커뮤니케이션 이론;비고츠키의 공간모형과 커뮤니케이션 프라이버시 관리 이론을 활용하여 남북한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드러난 집단 커뮤니케이션의 양상과 그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고츠키의 공간모형 Ⅰ영역은 교사의 언어 사용 전략;개념 안내에 대한 학습의 수용 과정이 진행된다. Ⅱ영역은 학습자가 새로 학습한 언어 사용 전략;개념;아이디어를 기존 전략;개념;아이디어와 조합하는 ‘변형 과정’이 진행된다. Ⅲ영역은 학습자가 수용하고 변형한 반응을 공적으로 드러내는 ‘공개 과정’이 진행된다. Ⅳ영역은 교실 담화 공동체 구성원들이 공동체 담화 관습을 익히는 ‘관습화 과정’이 진행된다. 분석 결과 남한의 1학년 국어 교과서에는 1;2영역과 같이 인지적;내적인 것;비공개적이며 개인적으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북한의 활동들은 2;3영역에 주로 속해 있었으며 개인의 능력이 직접 관찰 가능한 공개된 활동들이 많았다. 또한;북한 국어 교과서에는 남한 교과서보다 집단주의적 성격을 띠는 활동들이 다수 제시되고 있었다. 본연구는 향후 남북 집단 커뮤니케이션의 이질화를 분석하고 통일 국어 교과서 개발 논의에 기초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목차